지난 1월16일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의 두 번째 변론기일의 모습. 연합뉴스
“선고 후에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둘로 갈라진 우리나라가 결과에 상관없이 하나 된 모습으로 돌아왔으면 좋겠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전날인 3일, 경기도민들은 탄핵 찬반에 대한 여러 생각을 전하면서도 결국 ‘국론 통합’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4개월간 펼쳐진 극심한 정치 양극화에 피로감을 호소, 정치권이 서로 포용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형성한 것이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까지 집계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방청 신청자 수는 9만6천370명이다. 방청석이 20석인 점을 고려하면 경쟁률은 4천818.5대 1이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방청 경쟁률(796대 1)과 비교하면 6.05배 높은 수치다.
도민들은 4일 오전 11시 선고 결과에 대해 다양한 예측을 내놨다. 수원시민 A씨(30)는 “대통령이 저지른 수많은 위헌적 행위를 고려했을 때 선고까지 이렇게 오랫동안 걸릴 일인지 의문스럽다”며 재판관 전원 일치의 파면 결정이 나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반면 성남에 거주하고 있는 B씨(63)는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이번 정부 출범 이후 내내 방해만 일삼으니 대통령이 오죽하면 비상계엄을 했겠나”라며 “정당한 권한행사인 만큼 기각되거나 각하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탄핵 찬반을 예상한 도민 모두 선고가 끝나면 정치권과 시민 모두 대리보다는 통합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군포시민 C씨(27)는 “선고 결과가 나오면 이와 상관없이 그동안 탄핵 상황으로 불안정했던 사회가 통합돼 살기 좋은 사회로 바뀌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고 고양에 거주하는 D씨(37)는 “지난해 12월 탄핵 정국 이후 심화된 흑백논리 싸움이 이제는 종식됐으면 한다”고 소망을 전했다.
이재묵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탄핵 정국 이후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어떤 결과가 나오든 혼란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대외적 요인도 불안정한 시점에서 정치권과 국민 모두 ‘심리적 내전’ 극복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내일을 논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한울 기자 dahan810@kyeonggi.com
박소민 기자 som@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