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이 “경쟁자인 중국이 인공지능(AI)과 제조업 모두 우리를 빠르게 앞서고 있어 우리가 쫓아가지 못하고 죽을 확률이 상당히 높다”며 “한국의 제조 경쟁력을 빠르게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와 KAIST가 지난 2일 KAIST 대전 본원에서 개최한 '미래세대와의 AI 토크콘서트'에서 최 회장은 AI와 제조업을 결합해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사진 왼쪽 두번째)이 지난 2일 KAIST 대전 본원에서 개최한 '미래세대와의 AI 토크콘서트'에서 발언하고 있다.
최 회장은 “모든 기업이 제조 데이터를 모으고 시스템을 제대로 만들어서 제조 경쟁력을 급격히 높이는 프로그램이 없다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지금처럼 트럼프 정부가 관세를 올리고 생산공장을 옮기더라도 백그라운드 기술이 없으면 다른 나라에 나가는 것도 할 수 없다”며 “AI와 제조업을 결합한 경쟁자들이 공장을 만들 것이므로 AI와 제조업 결합 없이 생산기지를 옮기는 것은 장기적으로 전략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는 KAIST 출신 AI 분야 창업자와 청년 연구자, 산업계·학계 리더가 한자리에 모여 AI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하고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통하는 자리로 마련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SK그룹 회장),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 등 기업 대표를 비롯해 이광형 KAIST 총장, 정송 KAIST AI대학원장, KAIST 학생과 청년 예비 창업자 약 200여명이 참석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사진 오른쪽 세번째)이 KAIST 출신 청년 AI창업자 및 연구자들과 토론하고 있다.
최 회장은 SK의 전략에 대해 “메모리반도체를 확장하는 차원에서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칩 솔루션들을 만들어 낼 것”이라며 “에너지 계열사의 솔루션까지 포함해 AI 데이터센터를 가장 저렴하게 짓는 것을 목표로 기술을 모으면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SK가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들지는 않지만 거대언어모델(LLM) 형태의 솔루션은 가져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SK텔레콤이 텔코 얼라이언스를 통해 텔코 LLM을 만들고 관련 기업간거래(B2B) 모델과 일반소비자(B2C) 모델을 만들어 나가는 게 미래의 생각”이라고 부연했다.
최 회장은 “얼마나 독보적이냐가 경쟁력이고 그래서 우리가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지금 줄 서서 사야 하는 것”이라며 “SK도 글로벌 전쟁을 하려면 힘들고 상대의 목을 치려면 팔을 내어준다는 각오로 도전하고 쟁취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패널 토론에서는 최태원 회장, 이광형 총장과 함께 KAIST 출신 청년 AI 창업자와 연구자들이 국내 AI 산업의 비전과 발전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왼쪽 네번째)이 주요참석자들과 기념촬영했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