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CR 2025
세계 최대 규모 암학회인 '미국암연구학회(AACR) 연례 학술회의'가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 맥코믹 플레이스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다. 암 분야 세계 3대 학술대회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번 행사에는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참여해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매년 이 학회에서 자사 초기 임상 데이터 위주의 파이프라인을 글로벌 무대에 소개하며 기술력을 알리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K제약바이오 기업들은 대웅제약, 신라젠, 온코닉테라퓨틱스,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 딥바이오, 루닛, 파로스아이바이오, 지놈앤컴퍼니, 아이디언스, 펩트론, 티움바이오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참가해 연구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각 사는 공동 연구결과, 전임상 및 임상 초기 단계 신약 후보물질 데이터, 새로운 항암 타깃 연구결과 등을 공유하며 글로벌 파트너십 가능성도 타진한다.
AACR에서는 전임상부터 임상 1상 단계 초기 항암 신약 개발 성과를 발표한다. 그간 공개되지 않았던 새로운 항암 파이프라인이 최초로 소개되는 무대이기도 하다. 임상 진입 가능성과 기술이전(라이선스 아웃) 가능성을 검증받는 중요한 기회로, 각 기업은 이번 행사에서 글로벌 투자자와 다국적 제약사의 주목을 받기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대웅제약은 항암제 후보물질 표적항암제 'DWP216', 면역항암제 'DWP217', 합성치사항암제 'DWP223' 3개의 파이프라인을 소개하고, 후보물질들에 대한 전임상 결과 등을 총 4건의 포스터로 발표한다. 항암제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성과를 보여줄 예정이다.
신라젠은 개발 중인 항암제 BAL0891 연구결과 3건을 포스터 발표한다. BAL0891은 미국과 한국에서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글로벌 제약사 베이진으로부터 티슬렐리주맙(테빔브라)을 제공받아 병용 임상을 진행 중이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차세대 이중저해 표적항암제 신약 후보물질인 네수파립의 위암 관련 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앞서 발표 초록이 AACR에서 공개됐다.
리가켐바이오는 면역항암제로 개발 중인 STING agonist 'LCB39'와 ADC 플랫폼 기술이전으로 후보물질이 도출된 LRRC15 ADC 'SOT106', CA242 ADC 'IKS04' 등 총 5건에 대한 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루닛은 아스트라제네카와 진행한 AI를 활용해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변이를 예측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딥바이오는 면역 억제 단백질인 PD-L1과 세포 증식 및 전이 관련 수용체 단백질인 c-MET의 면역 조직 화학 염색(IHC) 이미지의 정량 분석, 유방 림프절 동결절편 병리 이미지의 인공지능 기반 진단 등 3건의 연구를 포스터 발표한다. 김선우 딥바이오 대표는 “이번 연구들은 AI가 암 진단에 가져올 수 있는 혁신을 잘 보여준다”고 말했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