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AI 피라미드2.0 소개
AI DC·B2B·B2C 공략 속도
"AI 수요자 아닌 공급자"
공정위 과징금엔 "소송"
유영상 대표가 26일 서울 을지로 본사 T타워에서 열린 제41기 정기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CEO)가 "인공지능(AI) 기술 수요자에 머무르지 않고 돈을 버는 공급자가 되겠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26일 서울 을지로 본사 T타워에서 제41기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작년 재무제표 승인,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총 2명의 이사 선임 등의 안건을 승인했다. 이날 주주총회에서 유 대표는 지난해 사업 성과와 구체적인 사업 비전을 상세히 공개했다.
올해 사업의 핵심 키워드는 'AI 성과 창출'이다. 유 대표는 'AI 피라미드2.0' 전략을 소개하며 AI로 돈 버는 방법은 'AI 데이터센터(DC)', 'AI 기업간거래(B2B)', 'AI 기업과 소비자간거래(B2C)'가 있다고 꼽았다.
AI DC 부문은 크게 4가지로 나눠 시장을 공략할 예정이다. 구독형 AI 클라우드 GPUaaS서비스, 소규모 모듈러 AI DC, 단일 고객 전용 AI DC, 하이퍼스케일급 AI DC 등이다.
AI B2B영역에서는 엔터프라이즈AI, AI클라우드에 이어, 올해 출시 예정인 AI B2B 에이전트 '에이닷 비즈'를 통해 수익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에이닷 비즈'는 일상 업무부터 법무, 세무 등 전문 영역의 특화 기능까지 제공한다. SK그룹 관계사에 적용한 뒤 AI B2B 시장을 공략할 예정이다.
AI B2C서비스 영역은 AI 에이전트 '에이닷'을 활용해 구독상품, 결합상품 등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고려 중이다. 아울러 연내 미국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완결형 글로벌 AI 에이전트 '에스터'는 글로벌 통신사와 협력해 글로벌 시장에서 서비스를 확장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올해는 운영효율개선(OI)을 전방위적으로 확대시켜 통신 산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한다. 결합상품, 가족로밍과 같은 대표 상품을 지속해서 발굴하는 등 OI 고도화를 추진한다.
유 대표는 정기주주총회를 앞두고 공개한 'CEO 주주서한'에서 'OI를 통해 확보한 리소스의 일부는 AI 전환·디지털전환(AT/DT) 혁신을 가속하는 데 투자해 추가 비용 절감이 가능하도록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이며, 이러한 OI의 결실은 AI 사업 성장과 AI 성과를 이뤄낼 토대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날 주총에선 강동수 SK그룹 PM부문장의 기타비상무이사 선임, 김창보 법무법인 대륙아주 변호사의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 등이 원안대로 통과됐다.
SK텔레콤은 투자자들이 배당금을 확인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정관을 변경했다. 새로운 정관은 이날부터 적용한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이사회 결의를 통해 분기 말일로부터 45일 이내 배당기준일과 배당금을 정하고 이를 2주 전에 공고하게 된다.
유 대표는 주주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데이터센터용 그래픽처리장치(GPU)로 엔비디아 H 시리즈 후속 제품인 블랙웰 도입 계획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블랙웰 GPU 도입 시기는 올해 2∼3분기 가능한 것으로 예상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판매장려금 담합 혐의 관련 과징금 1140억원 조처에 따른 대응을 묻는 질문에는 "(통지서를) 받으면 행정소송 할 것"이라고 답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