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디 재시 아마존 CEO. /조선비즈DB
아마존이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마존 클라우드 부문인 AWS에 생성형 AI 구축하고 수년간 수백억달러의 수익을 견인할 것이라는 기대다.
앤디 재시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11일(현지시각) 주주들에게 보낸 연례 서한에서 “생성형 AI는 인터넷 이후 가장 큰 기술 혁신이 될 수 있다”라며 “AI 설루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사회적, 비즈니스적 이익은 우리 모두를 놀라게 할 것”이라고 했다.
재시 CEO “앞으로 수년간 AI가 아마존에 수백억달러의 수익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세상을 변화시키는 AI의 상당 부분이 AWS(아마존웹서비스)에 구축될 것으로 낙관한다”라고 했다.
AI가 큰 수익을 내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는 게 재시 CEO의 예상이다. 그는 아마존이 AI와 관련해 AI 모델, 챗GPT와 같은 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 이를 구동시키는 칩 개발 등에 집중하고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아마존은 AI 전문가인 미국 스탠퍼드대 앤드루 응 겸임교수를 이사회 멤버로 추가했다. 응 교수는 ‘AI 4대 천왕’으로 거론되는 전문가다.
아마존은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에 40억달러를 투자하기도 했다. 앤스로픽은 오픈AI의 라이벌로 꼽힌다. 지난해 11월에는 자체 개발한 업그레이된 AI 칩 트레이니엄2와 AI 챗봇 큐(Q)를 선보였다. 지난 2월에 AI 기반의 쇼핑 챗봇 루퍼스를 출시했다.
재시 CEO는 아마존의 스트리밍 서비스인 프라임 비디오와 위성 인터넷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그는 “올해 첫 상업용 위성을 발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우리의 진전에 고무됐다”라고 했다.
아마존이 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재시 CEO는 “지난 1년간 창고에 판매하는 물품들을 고객들에게 더 가깝게 배치하기 위해 배송 시스템을 개편해 비용을 절감했다”라고 했다. 아마존은 인력을 꾸준히 감축하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