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와 공동 관측, 9월 발사할 '코로나그래프' 자료 보완
개기일식 다이아 반지의 순간 현지 시각 8일 미국 아칸소주 말번(Malvern)에서 한국천문연구원 김명진 책임연구원이 촬영한 사진.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정찬욱 기자 = 한국천문연구원은 9일(현지 시각 8일) 북미 대륙을 가로지르며 진행된 개기일식 사진을 공개했다.
천문연구원은 미국 텍사스주에 두 팀의 관측단을 파견해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공동 개발한 국제우주정거장용 '코로나그래프'(CODEX) 핵심 연구를 위한 개기일식 지상 관측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밝혔다.
천문연은 NASA팀과 함께 이곳의 흐린 날씨에도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 영역인 코로나 온도와 속도를 결정할 수 있는 4개 필터를 통해 편광 영상과 비편광 영상을 모두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개기일식은 지상에서 태양 코로나를 연구할 유일한 기회다. 태양의 밝은 광구로 평소에는 관측이 불가능한 대기층을 선명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개기일식은 관측단이 파견된 텍사스주 람파사스시 기준으로 8일 낮 12시 18분부터 오후 2시 58분까지 2시간 40분간 진행됐다. 태양이 완전히 가려진 개기식 기간은 4분 26초였다.
조경석 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향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낮은 코로나의 편광 특성과 지구대기의 편광 영향을 자세히 분석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분석 결과는 오는 9월 국제우주정거장에 발사해 설치될 코로나그래프 관측 결과와 함께 코로나 연구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코로나그래프는 인공적으로 태양 원반을 가려 개기일식처럼 관측할 수 있는 특수한 망원경 장치다.
jchu2000@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