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의정 갈등'이 양측의 입장차만 재확인한 채 봉합이 무산되는 분위기입니다. 의료계가 의대 증원 백지화 요구를 굽힐 생각이 없는 가운데, 정부가 총선 뒤 전공의 면허정지 처분을 재개하는 등 강공에 나설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안병수 기자입니다.
【 기자 】 정부는 의료계의 통일된 의견이 나오면 의대 증원 규모를 논의하겠다고 밝혀 왔습니다.
▶ 인터뷰 : 박민수 / 보건복지부 2차관 (어제) - "(의료계의) 대안이 아직은 제시가 되지 않은 상태이고 2천 명 증원에 대해서 정부가 정책 결정을 내린 사항이기 때문에…."
하지만 의료계는 여전히 원점 재검토 요구에서 물러서지 않는 걸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방재승 전국 의대교수 비대위원장은 MBN에 "의료계의 공통된 목소리는 증원 수를 객관적 기구를 통해 검증하는 것"이라며 "이것이 통일된 방안"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의사들이 증원 규모를 제시해도 정부가 받아들인다는 보장이 없고, 정확한 수치인지도 알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박단 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과의 협상도 사실상 실패한 상황이어서, 정부가 '압박 전략'으로 선회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전공의 복귀를 위해 정부가 면허 정지 처분을 재개할 수도 있는 건데, 이 경우 의정 관계는 다시 크게 틀어질 전망입니다.
▶ 인터뷰 : 류옥하다 / 대전성모병원 사직 전공의 (지난 2일) - "2천 명 증원을 고수하겠다고 하셨습니다. 현실적으로 복귀할 수 있는 학생, 전공의는 아무도 없을 겁니다."
한편, 집단 휴학으로 개강을 미룬 전북대 등은 다음주부터 원격 수업을 재개할 방침입니다.
MBN뉴스 안병수입니다.
[ ahn.byungsoo@mbn.co.kr] 영상취재 : 구민회 기자 영상편집 : 김상진 그래픽 : 김정연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