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교육부 공무원으로부터 자료를 건네받고 있다. 김영원 기자 forever@hani.co.kr
자녀 조기 유학,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 등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학계·시민사회의 지명 철회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도 이 후보자의 사퇴를 요구했다.
진보 성향의 교수·연구자 단체인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전국 교수연구자협의회(민교협)는 20일 성명을 내고 “이 후보자의 지명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민교협은 이 후보자가 국회 청문회 과정에서 “특목고와 사교육이 왜 문제인지, 고교학점제와 대학입시제도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전혀 파악하고 있지 못한 것은 교육부 장관 자격이 없음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자녀의 불법 조기 유학에 대해서도 “이 후보자가 우리 교육의 현실과 문제를 알 수 없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른다”며 “한국 공교육을 외면한 이가 어떻게 한국 교육부 장관이 될 수 있느냐. 당장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범학계 국민 검증단’(검증단)도 이날 자료를 내어 이 후보자 논문에 대해 “논문이 아니라 복제물 수준이다. 이 후보자는 자진 사퇴해야 하고 대통령실은 즉각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주요 논문을 1대1 원문 대조 방식으로 수작업 정밀 검증을 실시한 결과 ‘복붙(복사-붙여넣기) 수준’의 심각한 구조적 유사성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등 11개 교수단체 모임인 검증단은 과거 김건희 여사 논문 검증을 주도하기도 했다.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이 후보자와 관련해 “소모적인 논란이 하루빨리 종식되기를 바란다. 민주시민의 열망과 함께 출범한 새 정부의 현명한 판단을 기다린다”며 사실상 지명 철회를 요구했다. 정 교육감은 “새 정부의 교육부 장관이 지역간 교육 불균형 등 어려움을 앞장서서 해결하기 위해선, 교육계와 사회의 굳은 신뢰가 필수적”이라며 “학생들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초중등교육 및 고등교육 현장에서 헌신하는 모든 분들로부터 신망과 지지를 받는 교육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지난 19일 성명을 내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후보자에 대해 “중대한 흠결이 드러났지만 사퇴하지 않고 있다”며 “이재명 대통령은 즉각 두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고 사회적 약자 보호라는 여가부 책무에 부합하는 인사, 올바른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윤리를 갖춘 인사를 임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소윤 기자 yoo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