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리오사AI 컨소시엄 AI솔루션 활용방안 구조도. 과기정통부 제공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제품을 해외에서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반도체 해외 실증 지원 사업'에 4개 컨소시엄이 추가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들이 최근 각광받고 있는 NPU 제품을 해외 현지에서 실증해 글로벌 진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AI반도체 해외실증 지원' 추경 사업 착수보고회를 17일 서울 ‘SW마에스트로’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내 AI반도체 기업과 AI솔루션 보유 기업이 함께 해외 민간기업·공공기관·지자체 등 다양한 수요처에서 국산 NPU를 탑재한 AI서비스를 실·검증해 레퍼런스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 4월 본사업을 통해 4개 컨소시엄을 선정한 데 이어 5월 추경을 통해 4개 컨소시엄을 추가 선정할 수 있는 예산이 확보됐다. 과기정통부는 추경 사업 공모에 지원한 13개 컨소시엄 중 4개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선정된 컨소시엄은 서버형 컨소시엄을 꾸린 더존비즈온-퓨리오사AI, 에코피스-리벨리온, 엣지형 컨소시엄을 꾸린 엘비에스테크-디노티시아, 라온피플-모빌린트 등이다. 서버형은 국산 NPU 서버를 현지 시설에 적용해 AI 서비스를 검증하는 형태, 엣지형은 개별 기기에서 국산 NPU와 AI 솔루션이 안정적으로 구현되도록 검증하는 형태다.
추경을 통해 추가 선정된 4개 컨소시엄은 본 사업에 선정된 실증 수요처(대만·몽골·필리핀·말레이시아)와의 중복 없이 유럽(영국)·중동(UAE) 등 새로운 권역과 일본·태국 등에서 실증을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일부 과제들은 현지 기후·환경·인프라를 반영한 맞춤형 AI솔루션을 설계·실증함으로써 즉각적인 시장 진출과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선정된 컨소시엄별로 상세한 해외 실증계획을 공유한 이날 착수보고회에서는 각 참여기업들이 해외 협력채널·테스트베드 부족 등 해외시장 진출 시 겪는 애로사항을 공유하는 한편 내년도 사업 기획 시 보완 필요 사항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지원 확대를 요구하는 등 활발한 논의가 병행됐다.
착수보고회를 주재한 과기정통부 박태완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국산 NPU와 AI솔루션을 새로운 환경인 해외 현지에서 실증함으로써 제품 성능을 검증·고도화하고 레퍼런스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정부도 실증 수행과정에서 기업들이 겪을 수 있는 애로사항과 개선 방안에 대해 지속 피드백하는 등 목표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활발히 소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