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
(서울=뉴스1) 안은나 기자 =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 중 자녀 조기유학 등 논란 관련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2025.7.16/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안은나 기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자녀 조기 유학' 논란을 놓고 국민의힘이 집중 공세를 퍼부었다. 이재명 정부의 주요 교육 과제로 '공교육 강화'를 제시한 이 후보자를 향해 국민의힘은 "(우리나라) 부모들은 수능 성적표 갖고 기도도 하고, 울기도 하는데 이 후보자는 그런 경험을 한 번도 하지 않았다" "한국 공교육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이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었다. 이 후보자는 지명 직후 자녀 조기 유학·논문 표절 의혹·갑질 의혹 등이 연이어 제기된 만큼 이날 여야 간 치열한 공방은 예정된 수순이었다.
청문회 첫 질의자인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 후보자에게 "자녀의 조기 유학 문제와 관련해 국민의 눈높이에서 우려되는 부분에 대해 사과하실 생각이 있냐"고 말했고, 이 후보자는 "진심으로 송구하다"며 고개 숙여 사과했다.
이 후보자는 "아이들이 아주 오랜 기간 미국에서 공부하기를 강력하게 희망했다. 부모 마음으로 정말 떼어 놓기 힘들어서 많이 말렸지만, 워낙 의지가 강해서 이기지 못했다"며 "(차녀의 조기 유학 문제는) 불법인지 인지조차 못 했다. 큰 실수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 후보자는 자녀를 조기 유학 보내는 과정에서 초·중등교육법을 위반한 사실을 인정한 바 있다. 현행법에 따르면 자비유학 자격은 중학교 졸업 이상 학력이 있거나 이와 같은 수준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에게만 주어지는데, 이 후보자의 차녀는 중학교 3학년 1학기를 마치고 2007년 미국으로 이주했다.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은 "어머니의 마음으로 자기 자식에게 가장 좋은 환경을 제공하신 것이다. 대한민국은 선택의 자유가 있기 때문에 본인 돈으로 본인 자산으로 (유학) 하신 건 괜찮다. 그러나 공교육의 수장이 될 때는 다른 얘기"라며 "후보자는 공교육을 선택하지 않았다. 사교육으로 대표되는 조기 유학을 선택했다. 자녀의 선택이라고 변명하지 마시라. 그러면 부모 자격 없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도 "우리 학부모들이 수능이나 모의고사 성적표 나오면 그걸 가슴에 안고 울기도 하고, 교회나 절에 가서 우리 자식 한 점수라도 더 올려 달라고 애원하고 기도하는 이런 모습을, 한 번이라도 경험해 보셨냐"며 "이런 경험을 하신 분이 (한국) 공교육의 책임자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공교육을 경험도 하지 못하지 않았냐"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이 후보에 대한 국민의힘 교육위 의원들의 고발장을 들어보이고 있다. 2025.07.16. suncho21@newsis.com /사진=조성봉
청문회 시작부터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 후보자의 자료 미제출과 인사청문회 증인·참고인 미채택 등에 대한 거센 항의를 쏟아냈다. 이들은 이 후보자의 '자녀 조기유학 논란'과 관련해 자녀 유학비 지원 자료, 배우자 출입국 기록과 비자 발급 종류 등 자료 그리고 '갑질 의혹', '직장 내 괴롭힘 의혹' 등과 관련한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야당 간사인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자녀 유학비 지급 내용, 즉 기숙사비나 생활비 등과 관련한 자료를 요청했다. 미성년자인 학생 아이들의 개인정보도 아니다. 이 후보자 고발을 진지하게 검토하겠다"며 "이것도 못 내는데, 정말 뭔가 숨길 게 있어서 이런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지 않으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김영호 교육위원장과 여당 간사인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사생활과 관련한 부분은 가려서 자료를 제출해달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주호 교육부 장관 때 역시 자녀 교육 관련 해외 송금 자료요청을 다 거절당했다"면서도 "조 간사가 요청한 자료는 꼭 내야 한다고 본다. 자녀 송금 문제를 자료 제출한다면 하나의 전례가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 후보자는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승주 기자 gree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