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협상 등에 제조업 부진…건설업은 반등하지 못해"
청년 고용률 14개월 연속 줄어…인구 감소 등 영향도
구직자들이 취업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2025.5.26/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세종=뉴스1) 임용우 전민 기자 = 지난달 취업자가 전년 동기 대비 18만 3000명 늘어나면서, 6개월 연속으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10만 명대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내수 부진의 여파로 제조업은 12개월, 건설업은 14개월째 취업자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은 역대 최장기간 감소세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25년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909만 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8만 3000명 증가했다.
취업자는 지난해 11월까지 45개월 연속 증가하다 12월 5만 2000명 감소하며 증가 흐름이 끊겼다. 이후 1월 13만 5000명, 2월 13만 6000명, 3월 19만 3000명, 4월 19만 4000명, 5월 24만 5000명 증가한 데 이어 6월에도 18만 명 넘게 늘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34만 8000명, 30대에서 11만 6000명 증가했다. 반면 20대는 15만 2000명, 50대는 5만 3000명, 40대는 5만 5000명 각각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1만 6000명, 7.2%),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10만 2000명, 7.3%), 교육서비스업(7만 2000명, 3.8%)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농림어업(-14만 1000명, -8.7%), 건설업(-9만 7000명, -4.7%), 제조업(-8만 3000명, -1.9%) 등은 줄었다. 제조업 취업자는 12개월째, 건설업은 14개월째 감소 중이며 건설업은 역대 최장 기간 감소세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미국과의 관세협상 등 제조업에 여러 이슈가 있어 취업자가 감소했다"며 "건설업은 반등하지 못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6%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p)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70.3%로 0.4%p 올랐다.
다만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5.6%로 전년 동월 대비 1.0%p 하락했다. 지난해 5월부터 14개월 연속 하락 중이다.
공 국장은 "청년층 인구도 줄고 있어 취업자 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며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도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6월 실업자는 82만 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만 2000명 감소했다. 성별로 남자는 48만 9000명으로 1000명, 여자는 33만 6000명으로 3만 2000명 줄었다.
실업률은 2.8%로 0.1%p 하락했다. 남자는 3.0%로 전년과 같았고, 여자는 2.5%로 0.3%p 하락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582만 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만 2000명(0.3%) 증가했다.
그중 '쉬었음' 인구는 243만 4000명으로 6만 명(2.5%) 늘었다. 60세 이상(5만 4000명, 5.2%), 50대(1만 7000명, 4.6%) 등에서 증가했다.
phlox@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