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마치고 나오고 있다. 문재원 기자
재구속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15일에도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 소환에 응하지 않았다. 지난 14일에 이어 이틀 연속 특검의 소환조사 요구를 거부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을 강제구인하지 못한 교정 당국에 책임을 묻겠다며 압박하고 나섰고 윤 전 대통령 측은 “공개 망신주려는 행태”라며 맞섰다. 특검은 구속 기간 연장 없이 이번주 내에 윤 전 대통령을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내란 특검은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현재까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인치 지휘는 집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특검은 향후 출석 여부 및 출석 일시, 추가 인치 집행 여부 등 조사 방안과 관련한 다양한 방안을 심도 있게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10일 새벽 구속된 윤 전 대통령은 건강상 이유를 들어 10일 오전 진행된 내란 우두머리 및 직권남용 혐의 10차 공판에 출석하지 않았다. 이어 특검의 11일, 14일, 15일 출석요구를 모두 거부했다. 특검은 14일에 이어 15일에도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서울구치소에 윤 전 대통령을 조사실로 데려오라는 인치 지휘를 내렸지만 교정 당국은 윤 전 대통령을 끌어내지 못했다. 전직 대통령 신분으로 수용실에서 나가기를 거부하는 윤 전 대통령을 상대로 교정 당국이 물리력을 행사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풀이된다.
특검은 15일 오전 서울구치소 교정 담당 공무원을 불러 직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위를 조사했다고 밝히는 등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박지영 특검보는 “서울구치소가 형사소송법에 따른 특검의 인치 지휘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엄중히 책임을 묻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윤 전 대통령이 한때나마 지휘했던 공무원들이 본인 때문에 문책당하는 지경에 이르게 하지 않을 것이라 믿고 있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특검의 소환조사에 재차 불응한 14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내란특검은 서울구치소에 인치 협조 공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2025.07.14. 정효진 기자
박 특검보는 또 “형사사법 시스템상 진술을 거부하더라도 조사는 이뤄져야 한다”며 “조사거부는 피의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처벌 수위) 양정에 반영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피의자는 검찰총장을 역임한 전직 대통령이고, 누구보다도 형사사법 체계의 기준이 되어야 할 사람”이라며 “이와 같은 피의자의 대응 방식은 고스란히 일반에도 전파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박 특검보는 ‘대면조사가 목적이라면 장소는 본질적이지 않다’ ‘강제 인치만 고집하는 것은 전직 대통령을 공개적으로 망신 주려는 행태’ 등 윤 전 대통령 측 주장에 대해서도 “이(소환 조사)는 기 싸움이 아닌 형사사법 시스템과 원칙에 대한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향후 다른 특검 조사에서도 지금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면, 국민이 특검에 기대하고 생각했던 것들이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라고 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강제구인을 재차 시도하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판단하면 ‘옥중 조사’를 비롯한 여러 방법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추가 대면 조사 없이 윤 전 대통령을 재판에 넘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박 특검보는 이날 구속 기간(1차 10일, 연장 시 최장 20일) 연장 없이 윤 전 대통령을 바로 기소할 가능성을 묻는 말에 “여러 가지 검토 중인 방안 중 하나”라고 밝혔다.
김희진 기자 hjin@kyunghyang.com, 이창준 기자 jchan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