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ST, 출연연 기술사업화 정책 심포지엄 개최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이 15일 열린 ‘완결형 R&D 실현을 위한 출연연 기술사업화 정책 심포지엄’에서 기조발제에 나서고 있다.[국가과학연구회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출연연의 연구성과가 실험실 수준에 머무르지 않고 산업과 사회에서 실질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수요-공급 간 간극을 줄이는 완결형 R&D로의 연구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15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완결형 R&D 실현을 위한 출연연 기술사업화 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R&D 성과의 조기 성장 동력화를 위한 전략과 과제’를 주제로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은 산·학·연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 R&D 성과의 조기 성장 동력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통합지원 체계 마련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공감했다.
김영식 NST 이사장은 ‘R&D 완결성 실현을 위한 과제’라는 주제로 기조발제에 나섰다. 그는 출연연 기술이 민간으로의 이전이 정체되어 있는 원인으로 ▷기술 수요자-공급자 간 기술수준의 간극(Gap) 존재 ▷기술이전 선순환 구조의 단절 ▷기업-연구자 간 소통 부재 등을 지적했다.
주제 발제에서는 기술이전 수요-공급 매칭의 구조적 비효율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사업화 통합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손수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실장은 ‘기회와 임팩트 관점에서 본 출연연 기술사업화 정책’이라는 주제로 기술이전 건수와 기술료 중심의 기술사업화 정책을 도전적 기회와 사회·경제적 파급력 중심의 기조 전환을 제안하고, 기술사업화 전방위 지원 시스템 구축과 브랜드 마련 필요성을 강조했다.
손수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실장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공]
박성진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는 ‘출연연 기술사업화 생태계 진단 및 NST의 역할: 시대정신, 포항의 사례, 제언’이라는 주제를 통해 지역(포항)에서의 산·학 협력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공공기술 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 인력 양성 등 NST가 수행해야 할 역할을 제안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공공기술 사업화의 현주소와 기술수요·공급 매칭 인프라의 미래’라는 주제로 기술사업화의 핵심 주체인 공급자, 수요자, 중개자(Matchmaker)별 관점에서 문제점과 대안 논의가 심도 있게 이뤄졌다.
김영식 이사장은 “R&D 완결성을 실현하고 그 지속 가능성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중개자 인적 네트워크 기반의 ‘기술사업화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NST는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확인된 현장의 다양한 의견과 공감대를 바탕으로 출연연 기술이 완결형 R&D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NSMAP(기술사업화 통합지원 플랫폼) 본격 구축을 위한 준비와 세부 실행 전략 마련을 계속해 나갈 방침이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