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우드 기반 SW 연구성과 체험·공유·소통형 플랫폼
ETRI 연구진이 이프리티엑스(e-PreTX) 플랫폼 사이트에서 시연하고 있다.[ETRI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연구개발(R&D) 과제를 통해 개발된 소프트웨어(SW) 연구 결과물을 누구나 쉽게 체험하고 공유하며 소통할 수 있는 ‘이프리티엑스(e-PreTX) 플랫폼’을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e-PreTX’플랫폼은 ETRI 연구진이 직접 개발한 SW 기술을 온라인상에서 간편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기업·대학·개인 개발자 등 다양한 사용자들이 연구진(개발자)과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쌍방향 소통 공간이다.
현재 ‘e-PreTX’플랫폼은 ▷API 형태로 인공지능 SW를 실행해 볼 수 있는 ‘오픈 API 서비스’▷그래픽 사용자 환경(GUI)을 갖춘 SW를 원클릭으로 실행할 수 있는 ‘오픈 VDI 서비스’ ▷ETRI 연구과정을 통해 구축된 고품질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오픈 DATA 서비스’등 3가지 주요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픈 API 서비스’는 국내 중소기업, 대학, 개인 개발자들이 ETRI의 인공지능 기술을 직접 활용해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국내 인공지능 기술 활용 저변 확대와 관련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ET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지난 2017년부터 ‘공공 인공지능 오픈 API 서비스 포털’을 운영하며 40여 종의 AI API를 무료로 제공해 왔다.
이전까지 ETRI가 제공한 오픈 API 서비스는 2017년 11월 첫 공개 이후 지난달 말까지 인공지능 관련 언어·음성·시각지능 분야 등에서 총 8257만 건 이상의 누적 사용 실적을 기록하며 큰 관심을 받아왔다.
이는 월평균 90만 건, 하루 평균 3만 건 이상의 수치로, 인공지능 API에 대한 높은 사용 실적을 보여준다.
사용자들은 별도의 소스코드를 개발하지 않고도 API 호출만으로 다양한 인공지능 기능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사용자 비율을 살펴보면, 산업체(27%), 대학(28%), 개인 개발자(41%) 등으로 다양하며, 이와 같은 활발한 활용을 통해 총 75건의 기술이전이 성사되어 약 69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성과도 함께 달성됐다.
‘오픈 VDI 서비스’는 중앙 서버에서 사용자가 원격에서 가상 데스크탑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오픈 VDI 서비스를 이용하면 GUI가 필요한 SW결과물을 온라인상에서 쉽게 체험할 수 있다.
‘오픈 DATA 서비스’는 AI 개발에 필수적인 학습데이터의 공유 공간을 지원한다.
현재까지 한국어 음성 감정 데이터셋을 포함해 약 65종의 데이터셋이 공개돼 있다.
누구나 자유롭게 ETRI가 구축한 고품질의 학습데이터를 다운로드해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ETRI는 향후 e-PreTX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AI 모델뿐만 아니라 양자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의 최신 연구성과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공개할 계획이다.
이인환 ETRI 수도권연구본부장은 “오프라인이 아니라 온라인으로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e-PreTX를 통해 ETRI의 첨단 연구결과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공개하고, 수요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면서 “공개되는 기술과 소통 및 협업이 축적되면 e-PreTX 플랫폼이 R&D 기술 생태계의 중요한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