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
강 후보자“스톡옵션 모두 포기…여야에 열람”
증인 나온 업체 대표 “청탁 의존할 이유 없어”
본인·증인 모두 野 ‘이해충돌 의혹’ 제기 반박
野, 오후에도 보좌진 갑질 의혹 거론하며 질타
“사회 구조적·문화적 성 차별이 존재한다 생각…
여성, 출산이나 육아로 경력단절 되는 경우 많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헤럴드경제=안대용 기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배우자의 ‘스톡옵션 재산 신고 누락 의혹과 관련해 “스톡옵션 부여에 대해 거부 의사를 밝혔고 이에 따라 취소된 줄 알았으나 취소되지 않았던 상태임을 이번에 (인사청문회 준비 과정에서) 인지하게 됐다”며 “스톡옵션 모두 포기했다”고 밝혔다.
강 후보자는 14일 국회에서 열린 여가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이달희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변했다.
이 의원은 강 후보자에게 “우리가 국회의원이 되면, 고위공직자가 되면 재산 신고를 하는데 신고 누락이 됐다”며 “(본인 및 배우자 등이) 3000만원 넘는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그날부터 2개월 이내에 직무 관련 심사를 받아 명의신탁을 하거나 또는 매도하거나 해야 되는데 (배우자가) 스톡옵션을 받아 그대로 보유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또 이 의원은 “강 후보 이해관계 충돌이 부딪히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국회의원이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으로 강 후보자가 활동했는데, 바이오벤처기업 관련 스톡옵션을 강 후보자 배우자가 보유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이해충돌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었다.
강 후보자는 “스톡옵션과 관련해 2021년 3월 (배우자가) 감사로 있던 A(엑셀세라퓨틱스)사 주주총회에서, 임직원에 대한 스톡옵션 1만주 일괄부여 결의에 따라 스톡옵션 1만주를 (배우자가) 부여받았다”며 “12일 후인 2021년 4월 이사회에서 스톡옵션 1만주 취소 결의가 된다. 본인 거부 의사로 인한 부여 취소였다”고 했다.
이어 “그러고 나서 2022년 3월 주주총회에서 임직원에게 다시 일괄부여 결의가 됐다. 이에 따라 스톡옵션 1만주가 다시 부여됐다”며 “2021년 취소 의사, 거부 의사를 밝혀 취소된 것과 같이 배우자는 회사에 또다시 거부 의사를 밝혔다. 이에 전년도와 같이 취소·정리된 줄 알았으나 취소되지 않았던 상태임을 이번에 인지하게 됐던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스톡옵션 모두 포기했고, 포기각서는 여야 청문회 위원님들께 열람해드리도록 하겠다”고 했다.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이의일 엑셀세라퓨틱스 대표가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
이날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의일 엑셀세라퓨틱스 대표는 강 후보자 남편과 관련해 이해충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스톡옵션 때문에 생긴 여러 가지 논란을 제공한 것은 정말 송구하게 생각한다. 하지만 저희는 기술 기업”이라며 “청탁에 의존할 이유도 없다. 그런 부분의 오해는 거둬주시면 감사하겠다”고 했다.
또 이 대표도 “최초에 2021년 3월 정기 주총 때 1만주를 부여했고 바로 다음 달에 본인이 고사해서 저희가 취소한 기록이 있다”며 “그 당시 취소 요청 사유는, 아무래도 부인(강 후보자)께서 공직에 있는 상황에서 이런 것을 받는 것이 아무리 이해상충 우려가 없다 하더라도 본인이 부담스럽다고 해서 일단 취소했었다”고 했다.
이어 “그럼에도 4년이 넘는 기간 실제 노고가 있었는데 아무리 제 후배라는 이유로 무상으로 부려먹는 것도 정당하지 않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이 “강 후보자 남편이 거부하는 의사를 밝혔다는 것은 서로 말로 거부 의사를 밝힌 것인가, 아니면 문서로 ‘이것 안 할래’ 한 것인가. 어떤 증거가 있나”라고 질의하자, 이 대표는 “항상 구두로 저에게 취소 요청을 해왔다”고 답했다.
이어 “(첫번째 취소 요청과 달리) 두번째는 이랬던 것 같다. 제가 여기서 물의를 일으킨 죄송한 점인데 이것을 좀 가볍게 생각한 부분이 있었다”며 “제가 (취소를) 실행하지 않았다. 그래서 이번에 취소 의사를 본인이 서면으로 보내왔다”고 밝혔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오후에도 강 후보자의 과거 보좌진 갑질 의혹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께서 함께 잘사는 따뜻한 공동체를 강조하고 있다. 이 대통령께서도 보좌진을 공동체 일원이라고 생각할 것 같다, 그렇지 않나”라며 “그런데 자신의 잘못을 보좌진 탓으로 돌리는 강 후보자를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임명하는 것은 이 대통령의 따뜻한 공동체와 전면적으로 모순되는 행위라고 저는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한 의원은 “후보자는 2020년 8월 스쿨존 내 신호위반시 가중처벌하는 내용의 도로교통법 개정안을 발의하셨던 것 맞나”라며 “정작 본인은 스쿨존에서 신호를 위반한 과태료 처분을 받고서 3년 뒤에 장관 지명 이후에나 납부했다”고 했다.
이어 “여성과 아동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여성가족부장관 후보자가 스스로 대표발의한 법의 취지를 정면으로 위반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심각하다”며 “그런데 그것은 제쳐놓고 심각한 것은 후보자의 해명”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후보자의 해명은 당시 수행비서가 운전했다는 것”이라며 “보좌진의 운전으로 발생한 위반사항에 대해 본인의 책임을 회피하고 수행비서에게 전가하는 해명은 단순히 무책임함을 넘어서 제 생각에는 조직 구성원에 대한 후보자의 인식 수준을 여실히 보여 주는 대목”이라고 비판했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임세준 기자
강 후보자 및 배우자와 관련해 제기된 의혹 외에 성차별 문제와 관련한 질의도 드문드문 나왔다.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은 강 후보자에게 “우리 사회의 구조적 성차별, 젠더 불평등이 존재하는지, 대표적으로 어떤 차별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했다.
이에 대해 강 후보자는 “사회 구조적 그리고 문화적으로 성 차별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며 “예를 들어서 여성 같은 경우에는 출산이나 육아로 인해서 경력단절이 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고 답했다.
이어 “그리고 성폭력 피해자 관련해서도 어느 만큼 잘 보호가 되고 지원이 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의문이 있다”며 “각 부처별로 성평등 관련한 사항을 살피고는 있으나 이것이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재검토도 저는 적극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을 하고 있다”고 했다.
또 정 의원이 “젠더폭력 관련해 가장 큰 문제가 뭐라고 생각하는지” 질문하자 강 후보자는 “범죄수법이 나날이 고도화되고 있고, 피해자 (지원 및 보호) 등 두 가지 정도로 나뉘는 것 같다”고 했다.
이어 “젠더폭력 관련해서는 처벌은 법무부 쪽이고 그리고 지원과 보호는 여성가족부가 주무부처인 것으로 알고 있다. 처벌이 된다 해도 그 이후에 피해와 지원이 오롯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성폭력 피해자는 다시 한 번 더 그 성폭력의 테두리에 갇히게 된다”며 “그런 면에 있어서 균형과 조화를 적절히 이루어 나가야 된다고 생각을 한다”고 답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