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파운데이션 모델 "세계 최고 도전해야"
부실 복무·부모 인적공제 부당 신청 의혹도 해명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2025.7.14/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서울=뉴스1) 나연준 이기범 김정현 윤주영 임윤지 기자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는 "2~3년 안에 대한민국의 인공지능(AI) 대전환을 위해 소버린 AI를 반드시 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 후보자는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소버린 AI 구축 관련 질의에 "굉장히 높은 수준의 목표지만 재임 기간 반드시 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배 후보자는 "인프라, 데이터 등 여러 기술들을 녹여서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 있는 역량이 소버린 AI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대표 AI 파운데이션 모델의 목표 수준과 관련해서 배 후보는 "세계 최고에 도전해야 한다"며 "그 정도 AI 모델을 확보해야 AI 강국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배 후보자는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해 다양한 스타트업, 중소기업, 학계가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모든 기업이 만들 필요는 없다. 2~3개 기업만 만들어도 된다"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서비스, 각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파인튜닝 기술에서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 후보자는 이재명 정부의 목표인 글로벌 AI 3강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했다.
그는 "과학기술 연구자들이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환경과,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지원이 마련되면 AI 3강도 도전할 만하다"며 "정부가 어느 정도 마중물을 만들어주면 기업들이 AI로 좋은 성과를 만들 수 있다"고 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7.14/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배 후보자는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AI 기본법 개정이 필요하냐는 의원들의 질의에 "규제가 과도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오남용 부분은 철저하게 살펴봐야 된다"고 했다.
주 52시간 규제를 AI 관련 산업에서 제외해야 하는지 등을 묻는 질문 관련해서 배 후보자는 말을 아끼면서 "전 산업 영역 그리고 과학 분야의 연구 활용에 있어서 AI를 활용하면 더 적은 시간에 높은 생산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며 "우리 일하는 문화 전체에 전반적인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답했다.
배 후보자는 장관 후보자 지명 후 제기된 전문연구요원 부실 복무, 부모 인적공제 부당 신청 등 의혹도 해명했다.
배 후보자는 "박사 과정을 하면서 전문연구요원 근무를 한 건 맞지만 회사와 병무청의 승인을 받았다"고 했다. 대체복무 중 발생한 4167만 원의 수입 관련해서는 특수 관계는 없었다며 "이직했던 업체의 경영 사정이 좋지 않아 제가 일당백 역할을 했고, 연구소장이 특별 인센티브를 줬다"고 설명했다.
부모 인적 공제 부당 신청 의혹에는 2024년 부모님의 연간 소득이 107만원(만 60세 이상 부양가족 연간 소득 100만원 이하일 때만 기본공제 허용)이어 발생한 일이라며 지난 5월 정정신고했다고 설명했다. 배 후보자는 "공직자가 되면 당연히 부모님을 피부양자로 등록하지 않고 인적 공제를 하지 않겠다"고 했다.
yjr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