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1일부터 상호관세 부과 계획
“미국과 무역서 과도한 흑자내고 있다”
EU, 협상 우선 속 보복관세 가능성도 시사
멕시코 “부당하지만 보복보단 외교적 해결”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과 멕시코산 수입품에 대해 다음 달 1일부터 3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네트워크 ‘트루스 소셜’에 올린 서한을 통해 이 같은 계획을 공개하며, 두 국가가 “미국과의 무역에서 과도한 흑자를 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특히 멕시코에 대해서는 “카르텔을 막지 못하고 있다”며 불법 이민과 마약 유입 문제를 지적했고, EU에 대해서는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무역적자를 야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일주일간 20여 개국을 상대로 무더기 관세 부과를 경고한 가운데 나왔다. 앞서 그는 구리에 대해서도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캐나다에 대해서도 3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EU 측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8월 1일까지 협상 여지가 남아 있다”며 대화를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성명을 통해 “관세 부과는 필수적인 대서양 공급망을 교란시켜 양측 기업과 소비자, 환자에게 해를 끼칠 것”이라며 “EU는 그간 일관되게 협상을 우선시해왔고, 필요시 보복 조치도 준비돼 있다”고 밝혔다.
EU는 현재 미국과 자동차 관세 인하, 주류·항공기·부품 등에 대한 상호 관세 철폐 방안 등을 논의 중이며, 미국산 무기와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확대를 통해 무역 흑자 축소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매우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며 “브뤼셀은 신속하게 신뢰할 수 있는 보복 조치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탈리아의 조르자 멜로니 총리도 “서방 전체의 결속을 위해 공정한 협정이 필요하다”며 무역전쟁을 경계했다.
멕시코 정부도 현재 미국 측과 대안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이번 조치가 “부당하다”고 반발했다. 다만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보복보다는 외교적 해결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앞서 멕시코와 캐나다는 미국의 고율 관세에서 일정 부분 면제받았으며,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USMCA)을 준수하는 상품에 대해서는 관세가 면제됐다. 멕시코 경제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멕시코 수출품의 약 87%는 무관세로 미국 시장에 진입했다. 다만 멕시코는 여전히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철강·알루미늄 50% 관세의 적용 대상에 포함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외에도 반도체, 목재, 의약품, 항공기 부품, 전자제품 등에 대해서도 국가안보 조사를 명분으로 추가 관세를 검토 중이다.
한편, EU 27개국 대사는 오는 13일 오후 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며, 향후 미·EU 간 통상 마찰이 본격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상윤 (yoo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