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정부의 6·27 대책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과 거래액을 낮추며 부동산 시장 과열을 진정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선호지역뿐만 아니라 풍선효과가 우려됐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 지역 거래도 함께 줄었다.
6일 한겨레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해보니, 정부의 대출 규제가 시작된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4일까지 일주일 동안 서울 아파트는 총 346건이 거래돼 직전 일주일(6월21∼27일) 1948건보다 82.2%(1602건)나 급감했다. 6·27 대책 이후 일주일 총 거래액 역시 3210억6750만원으로 직전 일주일의 2조3718억7568만원과 견줘 86.5% 줄었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고강도 규제가 발표된 27일에 가계약을 급하게 정계약으로 돌리는 사례가 서울 곳곳에서 속출했으나, 28일부터는 부동산 시장은 ‘개점휴업’에 들어간 모양새다.
대책 발표 전 ‘불장’이었던 강남3구와 마용성의 거래는 꽁꽁 얼어붙었다. 강남구 아파트 거래량은 96건에서 12건으로 87.5% 감소했고, 송파구는 31건에서 2건으로 93.5% 줄었다. 서초는 6·27 대책 시행 전주에는 12건 거래됐으나 이후 일주일은 거래량이 ‘0건’이었다. 마포구도 105건에서 9건으로 91.4% 줄었고, 성동구는 124건에서 16건(-87.1%), 용산구는 21건에서 7건(-66.7%)으로 감소했다.
서울 주요지역의 아파트 거래액 역시 눈에 띄게 줄었다. 6·27 대책 직전 일주일간 거래액이 2613억2096만원으로 가장 많았던 강남구는 307억2천만원으로 88.2%나 줄었다. 강남3구를 보면, 거래액이 3886억4296만원에서 355억6천만원으로 90.9% 줄었고, 마용성은 4164억3700만원에서 500억2800만원으로 88% 감소했다.
6억원 이하 주택담보대출을 받아도 평균 시세 안에서 아파트를 구할 수 있는 상대적 중저가 단지가 모여있어 ‘풍선효과’를 받을 것으로 우려됐던 노도강, 금관구(금천·관악·구로) 등 외곽지역도 매수세가 자취를 감췄다. 노원(158건→45건)은 71.5%, 도봉(59건→14건)은 76.3%, 강북(25건→12건)은 52% 각각 줄었다. 금천(32건→6건)도 73.1%, 관악(70건→16건) 77.1%, 구로(76건→18건) 76.3%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6·27 대책은 선호지역과 외곽지역을 가리지 않고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대책 발표 뒤 일주일 동안 서울 거래량은 25개 자치구에서 모두 감소했다. 이 가운데 거래량 감소폭이 50%를 밑도는 곳은 강서구(42.4%)뿐이다. 강서구도 총 거래액이 841억8400만원에서 234억3천만원으로 72.2% 줄었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