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삼성폰, 다시 펼칠 시간(上)
[편집자주] 삼성이 2019년 세계 최초로 폴더블폰 시장을 열었지만, 중국 제조사들의 거센 추격에 독주 체제가 흔들린다. 폼팩터와 기능의 혁신 부재 논란 속에 삼성이 다시 한번 반격에 나선다. 핵심 전략은 '초슬림'과 '자체 AP 탑재'다. 내달 7세대 폴더블폰 시리즈 공개를 앞두고 삼성의 승부수와 시장판도 변화 가능성을 짚어본다.
━
[단독] 삼성, 자체칩 승부수…갤Z플립7 '엑시노스' 전량 탑재 확정
━
① 엑시노스 적용 첫 폴더블폰
/그래픽=윤선정 디자인 기자
삼성전자가 내달 공개하는 '갤럭시Z플립7'(이하 플립7)에 '엑시노스' 칩셋이 전량 탑재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은 플립7의 국내·외 모델에 '엑시노스2500'을 적용한다. 국내 모델에만 엑시노스를 적용하고 글로벌 시장엔 스냅드래곤을 공급할 것이란 기존 예상과 다른 흐름이다. 같은 날 공개하는 '갤럭시Z폴드7'은 퀄컴의 '스냅드래곤8 엘리트'가 탑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엑시노스는 삼성전자가 자체 설계·생산하는 AP(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다. 시스템LSI사업부가 설계를,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사업부가 생산을 맡는다.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AP는 CPU(중앙처리장치), GPU(그래픽처리장치) 등 핵심 부품이 통합된 SoC(시스템온칩)다.
이로써 플립7은 엑시노스가 적용된 첫 삼성 폴더블폰이 된다. 그동안 삼성은 갤럭시S 시리즈에서 지역과 모델에 따라 엑시노스와 스냅드래곤을 교차 적용했지만, 폴더블폰에는 스냅드래곤만 채택해왔다. 폴더블폰은 구조적으로 내부 공간이 좁고 발열 제어가 까다로워, 엑시노스보다 성능과 효율이 좋은 스냅드래곤을 탑재했던 것이다.
삼성전자가 플립7에 엑시노스를 전량 탑재하는 것은 제품에 대한 자신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엑시노스2500은 삼성의 3nm(나노미터) 2세대 GAA(게이트올어라운드) 공정으로 처음 생산되는 칩셋이다. 전작 대비 AI 연산 성능과 전력 효율, 제조 안정성 측면에서 큰 개선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진다. 당초 '갤럭시S25'에 우선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초기 수율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적용하지 않았다.
삼성이 엑시노스를 선택한 데는 애플처럼 기기의 심리스(Seamless)한 결합을 위한 의도도 있어 보인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합적으로 설계하는 방향으로 가기 위해선 칩셋과 디바이스 간 최적화가 필수다. 엑시노스를 활용하면 전력 효율, 카메라 처리, AI(인공지능) 기능 등 갤럭시에 특화된 기능을 더욱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
비용 절감 효과도 있다. 퀄컴의 플래그십 칩셋은 단가가 최소 수십달러에 이를 만큼 고가다. 엑시노스를 활용하면 원가를 낮출 수 있고, 향후 외부 고객사에 공급할 경우 라이선스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이번 결정은 퀄컴 의존도를 줄이고 칩 설계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퀄컴에 의존할 경우 기술 노하우가 외부에 집중돼 삼성 내부의 역량 축적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모바일 반도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엑시노스 생태계의 유지와 확장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엑시노스 전량 탑재는 단순한 부품 선택이 아니라 삼성의 전략적 전환을 의미한다"며 "자체 칩셋을 중심으로 한 최적화, 원가 경쟁력, 생태계 주도권 확보가 향후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동전 2개 두께" 역대급 초슬림폰…더 똑똑해진 갤Z 7시리즈
━
② "폴더블=두껍고 무거워" 선입견 깬다
갤럭시Z 7시리즈 예상 스펙/그래픽=김현정
삼성전자가 올 하반기 역대급으로 '얇고 가벼운' 폴더블폰을 선보인다. "폴더블폰은 두껍고 무겁다"는 인식을 깨고 고도화된 AI를 적용해 글로벌 시장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삼성전자는 오는 7월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신작 폴더블폰 '갤럭시Z 플립7·폴드7' 공개(언팩) 행사를 연다. 전작 대비 외형 변화는 크지 않지만, 사양은 한층 고도화했다.
23일 해외 IT 팁스터(정보유출가)가 공개한 정보를 종합하면 폴드7의 두께는 500원짜리 동전 2개(1개당 2㎜) 수준이다. 화면을 접었을 때 8.9~9.5㎜, 펼쳤을 때 3.9~4.54㎜가 예상된다. 지난해 한정 수량으로 출시된 '폴드 스페셜 에디션(SE)'을 뛰어넘어 역대 갤Z 시리즈 중 가장 얇다. 세계에서 가장 슬림한 폴더블폰인 '파인드 N5'(접었을 때 8.93㎜, 펼쳤을 때 4.21㎜)를 넘어설지가 관건이다.
무게도 한층 가벼워진다. 예상 무게는 215g으로 SE보다 20g 이상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두께와 무게를 줄이면서도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티타늄 백플레이트를 적용할 전망이다.
폴드7의 특장점인 넓은 화면은 더 커진다. 외부 화면 6.5인치, 내부 화면은 8.2인치로 전작인 '갤럭시Z 폴드6'보다 각각 0.3인치, 0.6인치 커졌다. 베젤 두께를 1㎜까지 줄여 실질적인 화면 체감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플립7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업계에선 전작 대비 변화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 플립 이용자들이 주로 쓰는 외부 화면이 3.4인치에서 4인치로 대폭 커지는 점은 긍정적이다. 베젤이 없는 '엣지 투 엣지'(edge-to-edge) 디자인으로 시원한 화면이 기대된다. 내부 화면(6.85인치)도 소폭 커질 전망이다. 플립의 약점으로 꼽혔던 배터리 용량도 기존 4000mAh에서 4300mAh로 늘린 것으로 보인다.
◇2억 화소에 AI까지…더 똑똑해진 카메라
카메라 기능도 향상된다. 폴드6에서 5000만 화소(50MP)였던 기본 카메라가 폴드7에선 2억 화소로 향상된다. 갤럭시S25 울트라 ·엣지 등 갤럭시 S시리즈 최상위 모델에 탑재되는 카메라가 적용되는 셈이다. 다만 셀카로 주로 쓰는 전면 카메라는 이전과 동일할 것으로 보인다. 플립7 카메라도 전작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삼성은 카메라에 AI를 연계해 지능형 인터페이스로 진화시킨다는 목표다. 단순 사진을 찍는 것을 넘어 이용자의 눈이 돼 이미지 검색이나 실시간 번역 등 이용자가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카메라는 디바이스 전반을 아우르는 핵심 요소"라며 "폴더블의 대화면과 만나며 한층 더 풍성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폴더블에 특화한 AI 서비스도 기대된다. 다니엘 아라우조 삼성전자 MX부문 상무는 올 1분기 실적발표 시 "갤S25에서 선보인 고도화된 AI 기능을 폴드, 플립 폼팩터에 특화해 차별화된 사용 경험을 선사하겠다"고 자신했다. 이번 갤Z 7시리즈에 적용될 폴더블 전용 OS(운영체제) '원 UI 8'은 음성·문자·사진·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 AI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윤지혜 기자 yoonji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