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통증. 사진 연합뉴스.
장마철만 되면 관절염이나 허리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들은 평소보다 통증이 심해진다. 따라서 이 기간에는 기존 통증 환자라면 신경통증이나 관절 통증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통증이 궂은 날씨에 심해지는 것은 의학적으로 근거가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다. 다만 정상적인 날씨에는 대기압과 관절내의 압력이 조화를 이뤄 평형을 유지하는데, 비가 많이 내릴 경우 대기압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관절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관절 내 조직이 팽창해 신경을 더욱 자극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관절 내 조직이 관절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데, 관절염이나 신경통증 등이 있는 환자는 더욱 예민하게 압력변화에 반응해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관절 통증에 관한 여러 가지 추측이 많지만 날씨가 관절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환자의 경험을 통해 밝혀진 사실이다.
특히 뼈가 일반인들보다 약한 노인들은 장마철 평소보다 세심한 관리를 해야 한다. 비가 오면 평소보다 길이 미끄러워 낙상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 낙상 시 노인들은 골절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외출을 삼가 하는 것을 권장한다. 외출을 하더라도 지팡이를 챙겨두는 것이 좋다.
잘못된 자세로 인해 '허리디스크'를 앓는 젊은 직장인들도 주의가 필요하다. 퇴행성 질환인 허리디스크는 척추 뼈 사이의 추간판이 옆으로 삐져나와 주위의 신경 근육을 누르면서 나타나는 통증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조기에 발견하면 쉽게 치료가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20~40대 젊은층들은 고온 다습 한 요즘 날씨에 이 같은 통증을 느끼더라도 허리디스크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병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비가 많이 오는 장마 기간에 평소 보다 통증이 심하다면 병원을 찾아 전문의에게 올바른 진료를 받고 병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성요통 환자나 요통을 앓은 적이 있는 사람은 장마철에 요통이 재발하기 쉬우므로 늘 실내 습도 조절에 신경 써야 한다. 통증 부위가 에어컨 바람에 노출되면 증상이 더 심해 질 수 있어 상체를 덮을 수 있는 얇고 긴 옷을 가지고 다니는 것이 좋다. 또 요통이 심한 부위에는 가벼운 찜질 등을 하면 통증을 다소 가라앉힐 수 있다. 저기압의 영향을 다소 줄이기 위해서는 실내에서는 기온 18~20도, 습도는 45~60% 사이를 유지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관절 통증을 방지하려면 실내에서라도 매일 조금씩 운동하는 것이 좋다. 가벼운 체조나 스트레칭은 필수다. 스포츠로 수영을 해준다면 관절 통증 해소에 큰 도움이 된다. 해가 날 때는 야외로 나가 가벼운 운동으로 몸 관절을 자주 풀어줘야 한다.
하지만 통증이 평소보다 부쩍 심해졌다면 무리한 운동은 피해야 한다. 그 대신 가벼운 맨손 체조와 걷기를 꾸준히 하고 운동 후에는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해 혈액순환을 좋게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미선기자 already@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