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여야 지도부 오찬에 "소통 의지 보여준 것에 감사"
"어떤 것도 양보하지 않는다면 국민 비판 피하기 어려워"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한남동 관저에서 열린 여야 지도부와 오찬에 입장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 대통령,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6.22.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승재 우지은 기자 = 국민의힘 지도부는 22일 이재명 대통령과 오찬 회동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 재검토와 야당으로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배분 등을 요청했지만 답변을 듣지는 못했다고 밝혔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성북구 고려대 의대에서 열린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 대통령이 여야 지도부를 초청해 대화하고 소통을 하겠다라는 의지를 보여주신 것에 대해서는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다만 아쉬웠던 점은 모두발언에서 말씀드렸던 (김 후보자) 인사 문제라든지 사법 독립에 대한 문제, 서울 부동산 집값에 대한 문제 등 여러 가지를 제안했는데, 사실 여기에 대해 대통령과 여당의 답을 명확히 듣지 못했다"고 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같은 날 오후 국회에서 이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간 오찬 회동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치 복원과 이재명 정부 성공을 위해 김 후보자 지명의 여러 문제점과 함께 재검토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어 "아빠 찬스, 채무를 가장한 스폰서 찬스, 칭화대 학위 선물 의혹 등 현재까지 제기된 의혹만으로도 이미 결격사유는 충분하다"며 "칭화대 논문에서 도북자, 반도자라는 표현을 쓰면서 목숨을 걸고 자유를 찾아 대한민국 품에 안긴 북한 이탈 주민을 배신자라고 규정한 후보자의 정체성 논란도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인사청문회까지 갈 것도 없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인사인 만큼 대통령과 새 정부의 국정 운영에도 큰 부담이 될 것이라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청문회를 지켜보겠다는 말씀으로 즉답을 하지는 않았다"며 "아마도 지명 철회할 뜻이 없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낸 게 아닐까 한다"고 덧붙였다.
송 원내대표는 이 대통령에게 정치 복원을 위해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야당에 넘겨줄 것도 요청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쉽게도 긍정적인 답을 받지는 못했다"고 했다.
그는 "견제와 균형이라는 민주주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또 행정부와 입법부를 모두 장악한 민주당이 법사위원장을 계속 독점할 경우 의석수를 앞세운 무소불위의 입법독재가 이어질 우려가 큼으로 법사위를 되돌려놓는 국회 정상화에 앞장서 주기를 부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대통령은 즉답을 피하고 여야 합의가 필요하다라는 말씀만 하셨다"고 했다.
송 원내대표는 "이번주 김 후보자의 거취와 민주당의 법사위원장 할애에 대한 입장 지켜볼 것"이라며 "정부·여당이 입법부와 행정부 권력을 모두 틀어쥐고 어떤 것도 양보하지 않는다면 식사 한번 하면서 야당을 들러리 세운다는 국민적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원하는 바가 받아들여지 않았을 때 대응책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국회에서는 우리 당이 절대 소수 당이지 않나. 그래서 핸들링 할 수 있는 부분이 제한적"이라며 "소수 야당으로서 국민과 함께 갈 수밖에 없고 민심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총리 후보자 청문회 보이콧도 검토하는지에 대해서는 "인청특위 위원과 상의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할 것"이라고 했다.
정광재 대변인은 논평에서 "공석이 된 법사위원장 자리를 행정부에 대한 견제와 균형이라는 국회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국민의힘에 넘겨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정 대변인은 "백번 양보해, 법사위원장 자리 배분이 당무 개입 여지로 어렵다면 인사권자로서 총리 후보자는 지명철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russa@newsis.com, now@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