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플렉시티 AI 로고. [로이터]
애플이 내부적으로 인공지능(AI) 검색 스타트업 퍼플렉시티 AI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에 따르면, 애플의 인수합병(M&A) 총괄 책임자인 아드리안 페리카는 서비스 부문 책임자 에디 큐 및 주요 AI 최고 의사결정권자들과 함께 퍼플렉시티 인수 가능성을 검토했다고 전했다.
다만 현재 논의는 초기 단계로, 아직 퍼플렉시티 측에 M&A 제안을 하지 않았으며 실제 인수 제안으로 이어질지 여부 역시 결정되지 않았다고 이 소식통은 덧붙였다.
퍼플렉시티는 미국에서 세계 최대 검색 엔진 구글의 대항마로 불리며 급부상한 AI 기업이다. 실시간 웹 기반 정보를 활용해 AI가 질의 응답 형식으로 출처와 함께 명확한 답변을 제공한다.
특히 퍼플렉시티의 경우 최근 기업가치 140억 달러(약 19조원)를 평가 받은 만큼 만약 해당 인수가 성사된다면 애플 역사상 가장 큰 인수가 될 수 있다. 현재까지 애플의 최대 인수는 지난 2014년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업체이자 헤드폰 제조사인 ‘비츠’(Beats)의 30억 달러다.
한편 시장에선 애플이 퍼플렉시티 인수를 타진하고 있는 배경으로 AI 기술에서 경쟁사보다 뒤처져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애플은 지난해 애플 인텔리전스라는 자체 AI 시스템을 내놓은 바 있지만, 핵심 기능인 음성 비서 ‘시리’(Siri)의 개선 작업이 무기한 연기되면서 격화되고 있는 AI 경쟁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애플이 퍼플렉시티 인수를 성사시키면 AI 인재와 기술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AI 기반 검색 엔진 개발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애플이 구글과 맺어온 오랜 파트너십이 미국 규제당국의 반독점 소송으로 인해 깨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 역시 퍼플렉시티 인수 검토에 힘이 실리는 대목이다. 현재 애플은 자사 기기에 구글을 기본 검색 엔진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연간 약 200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미 법무부는 앞서 온라인 검색 시장에서의 구글 독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글 브라우저인 크롬 매각과 함께 기본 검색 엔진 설정 목적으로 애플 등에 대한 돈 제공 금지 등을 법원에 제안한 바 있다.
한편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도 퍼플렉시티 인수를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소식통은 메타가 퍼플렉시티 인수를 타진했지만 성사되지 않았고, 협상이 상호 합의 하에 종료됐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퍼플렉시티가 인수 논의에서 발을 뺐다”고 말했다. 다만 협상이 무산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메타는 오픈AI 공동창업자인 일리야 수츠케버가 공동 창업한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SSI) 인수도 시도했다가 무산되자 스케일AI로 눈을 돌렸다는 분석이다. 최근 메타는 AI 스타트업 스케일AI에 143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하고 28살의 이 회사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알렉산더 왕을 영입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