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누리호 헤리티지 R&D…국방 시험위성 2기 누리호로(종합)
한화에어로 "다년 간 발사 보장하면 가격 경쟁력 높일 수 있어"
20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KASP)와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최형두·황정아 의원실은 국회에서 '민간발사체 산업 활성화 토론회'를 개최했다. 패널 토론에는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이준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무,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 김경근 국방과학연구소 단장 등이 참석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뉴스1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가 활성화하려면 우리 위성은 우리 발사체로 쏘아 올려야 한다고 업계가 입을 모은다.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민-관-군이 협력해 군용·기상 등 다양한 위성 발사 수요를 끌어주는 게 숙제로 제시된다.
우주청은 우선 국방부와 협력해 국방 시험위성 2기를 현행 주력 발사체 누리호로 올린다는 계획이다.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KASP)와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최형두·황정아 의원실은 20일 국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민간발사체 산업 활성화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우주청은 '누리호 헤리티지 사업'을 공개했다. 2027년까지의 누리호 6차 발사(누리호 고도화 사업) 이후 추가 발사를 국책 R&D로 보장해 준다는 내용이다. 사업비는 1578억 원이며, 기간은 2026년부터 2028년까지다.
그간 발사체 업계는 누리호의 지속 발사를 요구해 왔다. 누리호 뒤를 잇는 차세대 발사체 개발이 완료되는 2032년 전까지 5년간의 일감 공백이 우려돼서다. 현장에서도 누리호 고도화 사업의 체계종합을 맡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가 이를 지적했다.
이준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무는 "누리호 사업에 참여한 일부 기업은 납품을 끝낸 후 추가 일감이 없어 생산을 중단한 상태"라며 "산업 생태계 붕괴로 인해 민간의 제조역량 및 현장 기술이 소멸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우주청은 내부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업계의 열악한 상황을 돕는 방안을 모색했다. 그 결과 우리 위성은 우리 발사체로 쏜다는 원칙하에 누리호 헤리티지 사업을 기획하게 됐다.
계획에 따르면 시험용 국방위성 2기는 2028년 누리호를 통해 경사궤도로 발사될 예정이다. 우주청은 과기정통부와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도 적극 추진 중이다.
또 여러 위성을 한 번에 탑재할 수 있도록 위성덮개(페어링)의 개량도 이뤄진다. 기존 누리호 페어링은 용량이 작아 차세대 중형위성을 1기밖에 못 싣는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해 중형플랫폼 위성을 2기까지 수직으로 넣을 수 있게 한다. 또 낙하산 시스템 등 페어링 재사용 기능도 시도한다.
정혜경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산업정책과장은 "민군 겸용으로 발사체를 개발하면 한정된 우주사업 재원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고 기대했다.
정부 차원의 초기 발사수요 보장과 지속적인 성능 개선은 숙제다.
이준원 전무는 "정부가 공공분야 수요를 바탕으로 누리호를 다년 간 다회 발사하는 '블록 바이(Block-Buy)' 계약을 추진한다면 미리 양산이 가능하다. 재료비 등을 절감해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요청했다.
누리호 개발 주역인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누리호 고도화 기획에 엔진 재점화, 연료 효율화 등 기술을 넣고 싶었지만 전부 반영되진 못했다"며 "향후 사업에서 어떤 형태로든 (개량이) 있어야 누리호 활용성이 높아진다"고 했다.
lego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