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국회 '민간발사체 산업 활성화 토론회'
20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KASP)와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최형두·황정아 의원실이 개최한 '민간발사체 산업 활성화 토론회'/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누리호는 한 번 쓰고 끝낼 기술이 아니다. 누리호를 국방위성 발사에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20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KASP)와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최형두·황정아 의원실이 개최한 '민간발사체 산업 활성화 토론회'에서 우주 분야 전문가들은 이처럼 입을 모았다.
정혜경 우주항공청(이하 우주청) 산업정책과장은 "우리 위성은 우리 발사체로 발사한다는 기조 아래 최소한 공공 위성이라도 국산 발사체를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국방 및 공공위성 발사 시 대부분 해외 발사체를 이용해야 하다 보니 발사 일정이 지연되는 일이 반복됐기 때문이다.
최근엔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6호가 올해 하반기에서 내년 상반기로 연기됐다. 고해상도 관측 위성 아리랑 6호는 당초 유럽 발사체 기업 아리안스페이스의 '베가C'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함께 탑재될 예정이었던 이탈리아 우주청의 위성 개발이 지연되며 덩달아 발사가 늦어졌다. 아리랑 6호 발사는 아리안스페이스 측의 문제로 앞서 두 차례 지연된 바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를 활용하자는 의견이 나온다.
진승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 책임연구원은 "국가 기간 발사체를 장롱면허처럼 두면 안 된다"고 했다. 누리호 발사 계획은 2027년에 종료된다. 2032년 차세대발사체 발사 전까진 '발사 공백' 상태다.
진 책임연구원은 "국가적인 우주 수송 역량을 지속해서 유지하려면 누리호 추가 발사를 계획하거나 외국처럼 발사체 인력과 시설, 장비를 유지하는 프로그램이 있어야 하는데 현재는 이 2개 모두 불확실한 상태"라고 했다.
이준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무는 "현재 누리호에 참여한 일부 기업들은 납품을 끝낸 후 추가 일감이 없어 생산을 중단한 상태"라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공공분야 수요를 바탕으로 누리호를 다년 간 다회 발사하는 '블록 바이'(Block-Buy) 형태의 계약을 추진한다면 민간의 제조역량과 현장 기술이 소멸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 역시 "발사 성공 이력은 민간기업의 사업화 성공에 절대적"이라며 "공공수요를 기반으로 한 발사 서비스를 빠르게 발주해야 국내 기업이 해외 수주에서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우주청은 "2026년부터 2028년까지 예산 약 1600억원을 투입해 '누리호 헤리티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누리호를 개량해 국방 안보위성 2기를 궤도에 투입하는 사업이다. 더불어 민간의 발사 서비스를 정부가 구매하는 '민간 발사 서비스 구매제도'를 2029년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되고 있다. 사진은 2023년 5월 3차 발사 현장.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