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모델 대비 95% 이상 성능 목표, 최대 5개 정예팀 선정 지원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국내 인공지능(AI) 기술로 챗GPT, 제미나이와 같은 독자적인 AI 모델을 개발해 전 국민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가 첫발을 내디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할 국내AI 기업 컨소시엄을 다음 달 21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전 정부에서 '월드 베스트 거대언어모델'(WBL) 프로젝트로 불렀지만 새 정부 들어 명칭이 바뀌었다. 대표 AI 모델로 선정되면 'K-AI 모델', 개발사는 'K-AI 기업' 등 명칭을 쓸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인공지능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수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 오픈소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AI 서비스 출시와 산업 전 영역의 AI 전환을 가속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AI 기업이 컨소시엄을 이뤄 사업에 참가하면 최초 5개 팀을 선정해 그래픽처리장치(GPU), 데이터셋 등 AI 모델 개발에 필요한 자원을 수요에 따라 지원한다. AI 인재 육성 관점에서 대학·대학원생 참여가 필수로 요구된다.
개발할 AI 파운데이션 모델은 거대언어모델(LLM), 멀티모달모델(LMM) 등이다.
컨소시엄들이 만들어낸 AI 모델을 평가해 지원 대상을 추려 나간다는 계획으로, 6개월 이내 출시된 글로벌 AI 모델 대비 95% 이상의 성능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평가 단계마다 목표만 정부가 제시하고 구체적인 AI 모델 개발 전략과 방법론은 참여팀이 정하는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다르파·DARPA) 연구 방식이 적용된다.
올해 12월 예정인 첫 번째 평가는 경연대회 형식으로 국민과 AI 전문가 평가가 진행되며 국내외 벤치마크와 한국어 성능·안전성 검증 체계 평가 등이 반영된다.
정예팀으로 선발된 컨소시엄들에 지난 1차 추가경정예산으로 확보한 GPU 1만장 사용을 지원한다. 정부 구매분 국내 도입 전에는 민간 보유 GPU를 빌려 쓰도록 하는데 팀당 GPU 500장으로 시작해 1천장 이상으로 지원 규모를 늘린다.
데이터의 경우 정예 팀들이 저작물 데이터를 공동 구매하며 각 팀의 데이터 구축·가공 비용을 연간 30억∼50억원가량 지원한다.
AI 인재를 해외에서 유치할 경우 인건비, 연구비 등을 연간 20억원 규모로 매칭 지원한다.
과기정통부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국내 최고 수준의 AI 정예팀들이 도전해 글로벌 수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듦으로써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모두의 AI'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과기정통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공공분야에 AI 서비스 도입을 지원하는 사업에 참여할 기업도 공모한다고 밝혔다.
사업 과제로는 국민권익위원회의 AI 기반 국민소통·민원분석 체계 구축, 국세청의 국세 상담 지원 서비스, 산업통상자원부의 해외인증 공공특화 AI 에이전트 서비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전 국민 맞춤형 민원 상담 서비스가 있다.
csm@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