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손잡고 더 나은 미래 향해 한 걸음 내딛자"
日, 기시다·스가 전 총리 등 전·현직 사실상 총출동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19일 일본 도쿄 뉴오타니 호텔에서 열린 주일 한국대사관 주최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 리셉션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5.06.19/뉴스1 ⓒNews1 노민호 기자
(도쿄=뉴스1) 노민호 기자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도쿄에서 열린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했다. 예고 없이 '깜짝 등장'한 것으로, 한일관계 개선 의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시바 총리는 19일 오후 도쿄 뉴오타니 호텔에서 개최된 주일 한국대사관 주최 리셉션에 참석했다.
이시바 총리는 축사에서 최근 이재명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와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 계기로 열린 한일 정상회담 등을 언급하며 "앞으로 일한관계(한일)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서로의 생각을 맞춰가면서 아주 좋은 뜻깊은 논의가 됐다"라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일본과 한국은 그동안 구축해 온 다양한 협력에 더해 출산율 저하, 인구 감소 그리고 지방 활성화 등 양국이 많은 공통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라고 했다.
이어 "서로의 다양한 지혜와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협력할 수 있는 분야, 나아가 반드시 협력해야 하는 분야도 수없이 있다"라며 "일한 협력의 지평을 더욱 넓히면서 지금까지 이어온 교류의 바통을 확실하게 다음 세대에 넘겨주려고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시바 총리는 "일본과 한국을 둘러싼 전략적 환경이 엄중해지면서 그렇기 때문에 더욱 서로가 손잡고 더 나은 미래를 향해 새로운 한 걸음을 내딛자"라고 덧붙였다.
박철희 주일대사가 19일 일본 도쿄 뉴오타니 호텔에서 열린 주일 한국대사관 주최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 리셉션에서 인사말 하고 있다. 2025.06.19/뉴스1 ⓒNews1 노민호 기자
박철희 주일대사는 인사말에서 "한일 간 인적교류·교역 규모를 1965년 수교 당시와 비교해 볼 때 지난 60년의 한일관계의 역사는 성장, 성취, 성공의 역사"라며 현재의 우호적인 한일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고 지속가능한 것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 양국의 차세대 주역들에게 희망찬 한일관계의 미래를 넘겨주기 위한 책임 등을 강조했다.
올해 한일은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양국에서 한 번씩 기념 리셉션을 주최했다. 지난 16일 서울에서 열린 주한 일본대사관 주최 행사에선 이재명 대통령이 영상 축사를 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당시 캐나다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참석 때문에 부득이하게 행사에 불참했다. 이에 외교적 관례인 '상호주의'에 따라 이시바 총리도 영상 축사를 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전격적으로 직접 참석을 결정한 것이다.
일본 측은 이날 행사에 이시바 총리 외에도 누카가 후쿠시로 중의원 의장,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 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이와야 다케시 외무대신, 나카타니 겐 방위대신, 가토 가쓰노부 재무대신, 아베 도시코 문부과학대신, 아사오 게이치로 환경대신, 가미카와 요코 전 외무대신, 고노 다로 전 외무대신, 후나코시 다케히로 외무성 사무차관, 전·현직 고위급이 사실상 총출동 했다.
19일 일본 도쿄 뉴오타니 호텔에서 열린 주일 한국대사관 주최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한 양국 인사들. 2025.06.19/뉴스1 ⓒNews1 노민호 기자
또한 각 당 대표와 국회의원, 재계·학계·문화예술계, 친선단체 등에서도 주요 인사가 다수 참석했다.
외교부는 "현직 총리, 관방장관, 외무대신 등 내각 고위 핵심 인사들이 동시에 동일한 행사에 참석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측에선 주호영 한일 의원연맹회장, 민홍철 한일 의원연맹 간사장을 비롯해 국민의힘 김석기, 배현진, 윤재옥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김형배, 서삼식 의원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김태환 한일 친선협회중앙회장, 이대순 한일 협력위원회 위원장,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 및 우리 동포와 기업인 등도 함께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나흘 간 발신된 한일 정상 간의 '릴레이 메시지'도 주목할 만하다는 분석이다.
이 대통령은 서울에서 열린 60주년 행사 축사에서 "두 손을 맞잡고 더 나은 더 나은 미래로 함께 나아가자"라며 한일관계의 안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발전을 위한 협력의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이후 이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는 캐나다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미래·동반자' 키워드로 협력을 다짐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이번 회의 참석 때문에 (서울에서 열린) 리셉션에는 못 가셨지만 정말로 마음이 따뜻해지는 메시지를 주셨다는 보고를 받았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ntig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