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 26일 본회의 열고 해체 승인 안건 심사
고리 원전 모습. 오른쪽부터 고리1, 2, 3, 4호기./뉴스1
오는 26일 고리 원전 1호기에 대한 해체 승인 여부가 결정된다. 고리 1호기 해체 승인이 이뤄지면 국내 원전 해체 산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원전 해체는 원전 시설을 영구적으로 정지한 뒤에 시설과 부지를 철거하고, 방사성 오염을 제거하는 활동을 말한다.
19일 원자력계에 따르면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26일 본회의를 열고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2017년 6월 고리 1호기가 영구 정지된 이후 8년 만이다. 앞서 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2021년 5월 14일 고리 1호기 해체승인을 신청했다.
한수원은 해체승인을 신청하면서 최종해체계획서를 제출했다. 이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서류적합성 검토를 거쳐 2022년 2월부터 3년에 걸쳐 최종해체계획서 심사가 진행됐다. KINS 관계자는 “3년간 다섯 차례에 걸쳐 358건의 질의·답변을 거치면서 최종해체계획서 심사가 진행됐다”며 “심사가 마무리된 올해 2월부터는 심사 결과에 대해 원자력안전전문위의 검토를 거쳤다”고 말했다.
올해 5월 기준 전 세계 22국에서 원전 214기가 영구정지된 상태다. 이 중 25기가 해체됐다. 미국이 20기로 가장 많고, 독일이 3기, 일본과 스위스가 각각 1기다. 영구 정지 상태지만 아직 해체되지 않은 원전이 189기에 달하고, 앞으로 영구정지를 앞둔 원전까지 합하면 원전 해체 시장의 규모는 더욱 커진다. 원전 해체 시장 규모는 2050년쯤에는 5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전 해체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원이 될 수 있다. 원전 해체 단계는 영구정지 전 준비(2년), 안전관리 및 사용후핵연료 반출(5년), 실제 해체(6년), 복원(2년) 등 대략 15년 정도가 걸린다.
국내 원전 업계는 고리 1호기 해체에 참여해 실적을 쌓으면 해외 원전 해체 시장에도 뛰어들 수 있다고 본다. 한국은 원전 건설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만, 해체 시장에서는 아직 경험이 없다. 원전 20기를 해체한 미국은 원전 해체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만 2곳이 있다.
원자력계는 원전 해체 시장 진출에 대비해 기술력을 축적했다. 한수원은 원전 해체시설 구조적 안전진단 등 58개 해체 상용화 기술을 이미 확보했고, 한국원자력연구원도 자체적으로 38개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 임시우 원안위 원자력안전과장은 “선진 기술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 격차는 있을 수 있지만, 한수원 자체적으로 해체에 필요한 기술은 모두 갖췄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6일 열리는 원안위 본회의에서는 해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대비 등을 따질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안전법 시행령에는 원자로시설의 해체에 필요한 기술 능력을 확보하고 있거나 해체 계획의 적합성,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폭방사선량, 선량한도 등을 해체승인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