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알리바바클라우드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이달 서울에 2번째 데이터센터를 개소한다. 국내 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및 AI(인공지능) 서비스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차원에서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2022년 국내에 첫 데이터센터를 설립한 후 3년만에 투자를 단행해 2번째 데이터센터를 개소한다며 19일 이같이 밝혔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이번 제2 데이터센터 출범은 생성형 AI 서비스 도입 기대에 따른 AI 인프라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또 "신규 데이터센터를 통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등 AI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제품을 더 다양하게 제공할 것"이라며 "클라우드의 복원력과 네트워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핵심 클라우드 제품의 고가용성 및 재해복구 역량도 대폭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2023년 12월 국내 데이터센터 인프라에 대해 국내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정보보호 인증인 ISMS(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을 받기도 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당사의 서비스와 운영 체계가 국내의 엄격한 규정과 컴플라이언스 기준을 충족하고 있음을 입증한다"며 "이를 통해 국내 기업 고객은 보다 강화된 보안 환경에서 알리바바 클라우드 서비스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다"고 했다.
윤용준 알리바바 클라우드 한국 총괄 지사장은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AI 기반 기술 고도화와 산업 전반의 디지털 수요 증가에 맞춰 한국 내 인프라를 지속 확장해왔다"며 "이번 제2 데이터센터 출범을 통해 고객에게 보다 유연하고 복원력이 뛰어난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AI 혁신을 가속화하고 국내 디지털 생태계 확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2016년 한국 시장에 진출해 다양한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해왔다고 소개했따. 일부 기업은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대표 LLM(거대언어모델)인 '통이'(Tongyi)와 그 확장가능한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하기도 했다.
국내 AI 솔루션 기업인 유니바는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생성형 AI 기술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에이전트 AI' 솔루션을 고개했다. QWEN(큐원)의 한국어 처리 성능에 기반한 서비스다. 네이버 자회사인 스노우도 중국에서 운영 중인 자사 앱의 이미지 스타일링 기능에 알리바바 클라우드 고급 AI 비디오 생성 모델인 Wan을 활용하고 있다. 개별 사용자 고유의 요구에 최적화된 개인화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쓰인다는 게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설명이다.
국내 라이브 스트리밍 기업 라라스테이션도 2022년부터 알리바바 클라우드를 통해 동남아 시장 진출을 도모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메가존소프트, 이테크시스템, 아이티센클로잇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와 산업별 솔루션을 제공 중이기도 하다.
황국상 기자 gshwa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