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기업 이전 TF 구성 제안…"해사법원도 전국 관할권 가져야"
"북극항로특별법,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 통합 추진도 가능"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부산 전략 발표하는 박형준 부산시장 [촬영 김선호 기자]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박형준 부산시장은 17일 새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이 시너지 효과를 내려면 타 부처에 흩어진 기능의 집적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시장은 이날 오전 10시 부산 영도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열린 제22차 부산미래혁신회의에 앞서 '글로벌해양 허브 도시' 조성 전략을 발표했다.
그는 "올해 예산 6조7천억원에 본청, 지방청, 산하기관 등 총 4천366명이 근무하는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하면 현장 기업 활동은 물론 해양수산 공공기관, 연구기관과 협업 체계가 강화돼 부산이 해양 5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한 부처의 공간 이동이 아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려면 기능의 집적화가 필요하다"며 "산업자원부의 조선·해상풍력 업무, 국토교통부의 국제 물류 업무를 이관해 해수부 권한과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1차 공공기관 이전 때 부산 동삼혁신지구 해양클러스터로 이전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등과 연관성이 높은 필수 기관도 함께 이전해 해수부를 중심으로 통합,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시기 공약한 해사법원에 대해 박 시장은 "전문성 강화를 위해 부산에 해사 사건을 전담하는 1심과 1심 단독 항소심을 담당하는 전국 관할 법원이 설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해운선사 HMM 이전을 두고는 "부산에 모항을 두면 부산 해양산업 구조를 완성하는 핵심축이 될 것"이라며 "다른 대형 해운선사, 수산·물류 대기업도 유치해 글로벌 해운 물류·수산 시장을 주도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범정부 차원의 해양 기업 이전 지원 태스크포스 구성을 제안하고 부산시가 행정·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새 정부의 북극항로 거점 항만 구축 방침에 환영 의사를 밝히며 "국가 차원의 북극항로 컨트롤타워 신설로 부산항을 중심으로 선박-물류-에너지를 연계한 고부가가치 친환경 해운산업을 육성해 부산항을 북극항로 거점 항만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말했다.
발표 후에는 취재진 질의가 이어졌다.
부산 지자체의 해수부 이전 유치 경쟁이 뜨거운 가운데 박 시장은 해수부 이전 적지로 북항을 꼽았다.
그는 "해수부와 관련 기관이 통합해서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북항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해수부나 부산항만공사와 협의해 추진하고 직원 정주 여건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이 북극항로 개척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법안"이라며 "북극항로 관련 특별법과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의 특수성을 각각 살려 추진하거나 필요하다면 통합법을 만들 수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win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