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 인덱스 2025 발표
상위 10개 연구기관 중국 8곳
중국의 인재 유치 전략 먹혀
트럼프 정부 하에서 격차 더 커질 듯
네이처 인덱스 2025의 연구기관별 순위. 상위 10곳 중 8곳이 중국의 연구기관이다. [사진=네이처 인덱스 홈페이지 캡처]
첨단기술 경쟁력에 이어 기초과학 패권마저 중국이 가져가고 있다. 지난 100년 가까이 세계 과학기술을 이끌어가던 미국은 객관적인 지표에서 중국에게 뒤처졌다. 중국은 전 세계에서 인재를 끌어모으는 반면, 트럼프 정부 하에서 미국의 과학자들이 빠져나오고 있어 앞으로 격차는 더욱 벌어질 전망이다.
네이처가 최근 발표한 ‘2025 네이처 인덱스’의 세계 연구 선도 기관 순위에 따르면, 기초과학 분야 상위 10곳에서 중국이 8곳이었다. 미국의 하버드대학교가 2위, 독일의 막스플랑크연구소가 9위를 차지했고, 나머지는 전부 중국의 연구기관이었다.
이번에 발표된 순위는 물리, 화학, 생명과학 등 기초 자연과학 분야에서 연구기관들의 논문 게재 성과를 비교한 결과다. 로봇, 양자 등 첨단과학과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역량을 길러야 하는 자연과학에서도 중국이 미국을 압도하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중국의 상승세와 미국의 하락세는 최근 수년간 계속 이어지고 있다. 1위인 중국과학원은 성과 지표에서 2위인 하버드대학교를 2배 이상의 점수로 따돌렸다. 다른 중국 연구기관들의 순위도 급등했다. 지난 조사에서 10위였던 저장대학교는 이번에 4위를 기록했다.
세부 분야별 순위를 봐도 미국이 1위를 차지한 분야는 생명과학과 보건의료 분야 밖에 없었다. 이마저도 하버드대학교를 제외하면 10위권 내에 미국의 연구기관은 전무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비판하고 있는 하버드대학교가 그나마 미국 과학계의 체면치레를 한 셈이다.
이를 두고 중국의 공격적으로 유치한 인재들이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은 지난 수십 년간 파격적인 지원을 거듭해 전 세계 정상급 연구자들을 유치했다. 구본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 단장은 “중국은 인재를 영입한 수준이 아니라, 두뇌를 이식한 수준에 가깝다”고 했다.
중국은 유학생이나 신진 연구자들을 유치하기보다 이미 해외에 자리 잡은 정상급 책임연구자나 석학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해왔다. 유학생들은 지도교수를 보고 진학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상급 연구자를 유치하는 게 우선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미‧중 간의 격차는 앞으로 더욱 벌어질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구개발비를 삭감하는 등 미국의 연구 생태계를 망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실력 있는 연구자들이 대거 미국을 떠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발표된 순위는 서방의 위기라기보다는 미국의 위기로 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럽이 최근 연구자 지원 정책을 펼치는 가운데 미국을 떠난 연구자들이 유럽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2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유럽의 기초과학 패권이 미국으로 넘어간 것처럼, 다시 미국의 과학 패권이 이동하고 있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구 단장은 “지금은 미국, 유럽, 중국이 과학계를 삼분의 일씩 나눠가진 형국이라면, 앞으로는 미국의 비율은 줄어들고 중국과 유럽이 커질 것”이라고 했다. 다만 유럽 국가들에 비해 중국의 재정 지원 규모가 훨씬 크기 때문에 중국의 상승세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경우, 100위권 내에 서울대(52위)와 KAIST(82위)가 들었다. 서울대가 지난해보다 2계단 상승했으나, KAIST, 연세대, 성균관대, 포스텍, 고려대 등은 모두 순위가 하락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