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노우플레이크 서밋 2025
라마스와미 "AI 핵심은 데이터"
생성AI·데이터클라우드 1위 회동
인턴이던 AI 이제 전문가 수준
관건은 AI와 데이터의 결합
AI에이전트가 산업 폭발 기폭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왼쪽)와 스리다르 라마스와미 스노우플레이크 CEO(오른쪽)가 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열린 ‘스노우플레이크 서밋 2025’에서 인공지능(AI)의 미래에 관해 대담하고 있다. 스노우플레이크 제공
“향후 1~2년 내 인공지능(AI)이 숨 막히는 속도로 발전해 이전 세대 모델로는 불가능하던 일들이 가능해질 것입니다.”(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
“데이터와 AI는 우리가 일하는 방식은 물론 여러 글로벌 난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편할 것입니다.”(스리다르 라마스와미 스노우플레이크 최고경영자)
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막을 올린 ‘스노우플레이크 서밋 2025’ 무대에 각각 생성형 AI와 데이터 클라우드 업계를 주도하는 두 기업 수장이 올랐다. 주인공은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와 스리다르 라마스와미 CEO. 이들은 한 시간가량 진행된 대담에서 AI가 기업의 일하는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AI가 일하는 방식 재정의”
올트먼 CEO는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코딩 에이전트 ‘코덱스’를 예로 들었다. 그는 “예전 AI가 인턴이었다면 지금은 전문가로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많은 사람이 자신의 업무를 여러 AI 에이전트에 할당하고 오류가 있으면 끊임없이 피드백하는 식으로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며 “이는 신입사원과 팀을 이뤄 일하는 것과 매우 비슷하다”고 덧붙였다. 라마스와미 CEO는 이와 관련해 “글로벌 통신업체 에릭슨은 코텍스(스노우플레이크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자율 기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두 사람은 지난 1년간 AI산업이 중대한 변곡점을 지났다고 입을 모았다. 올트먼 CEO는 “내년에는 AI가 ‘당신의 사업에 중요한 문제가 있다’고 조언해 줄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할 수 있는 ‘과학자 AI 에이전트’ 탄생도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라마스와미 CEO는 “AI는 이미 코드 작성부터 철학적 추론까지 사용자 수십억 명이 데이터의 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고, 데이터와 지능이 결합해 미래를 상상하는 방식을 재정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두 CEO가 공통적으로 강조한 것은 데이터다. 라마스와미 CEO는 “데이터는 AI의 연료”라며 “데이터 전략 없이 AI 전략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올트먼 CEO도 “AI는 일종의 ‘추론 엔진’이기 때문에 AI에 사업의 맥락을 알려주면 사용자가 필요한 모든 도구를 제공받을 것”이라며 데이터가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근원이라고 했다.
◇에릭슨, 자율통신네트워크 개발 중
2022년 11월 오픈AI가 챗GPT라는 생성 AI 모델을 선보인 이후 글로벌 AI산업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지난해 2350억달러(약 324조2000억원)로 평가된 글로벌 AI 시장 규모는 2028년엔 세 배가 넘는 7490억달러까지 커진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성장의 최대 동력원으로 기업별 특화 데이터에 기반한 AI 에이전트 시장을 꼽는다. AI 전환 속도가 기업의 성패를 가를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샌프란시스코=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