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리포트=강해인 기자] 배우 이제훈과 유해진이 IMF의 비극을 담은 영화로 관객 앞에 섰다.
대한민국의 1997년은 달고 쓴 소주맛 같았다. 경제 성장과 함께 어느 때보다 달콤한 시간을 보냈던 우리나라는 1997년 IMF 외환 위기를 겪으며 크게 휘청였다. 굵직한 기업이 문을 닫았고, 많은 이가 직장을 잃었다. 그때 우리에겐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
'소주전쟁'은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국내의 한 소주 브랜드의 인수합병 사건을 극화한 영화다. 독보적인 맛을 자랑하던 '국보소주'는 자금난에 휘청거리고 글로벌 투자사 솔퀸은 이를 이용해 큰돈을 벌려고 한다. 솔퀸의 직원 인범(이제훈 분)은 국보소주 매각을 위해 국보 그룹의 재무이사 종록(유해진 분)에게 접근하고 두 사람은 다른 목적을 가진 채 움직이다 갈등을 겪게 된다.
'소주전쟁'은 국가 경제 위기 속에 삶의 터전을 잃을 수 있는 사람들과 이를 이용해 돈을 벌려는 이들의 대립을 담았다. 영화를 통해 자본주의가 가진 그림자와 위험성, 그리고 인간의 탐욕이라는 어두운 면을 볼 수 있다. 혹은 시대의 흐름을 빠르게 읽는 영리한 이들이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모습에서 묘한 쾌감을 느낄 수도 있다. 이런 영화의 구도는 '빅쇼트', 국가부도의 날' 등과 유사하다.
하지만 앞의 영화들과 달리 '소주전쟁'은 개인의 태도와 변화하는 사회의 주류 가치관에 관심이 많다. 이 영화는 자본주의 사회의 명암과 함께 다양한 가치관의 충돌을 조명한다. 종록과 인범은 구세대와 신세대, 혹은 동양과 서양의 가치관을 상징하는 인물들이다.
종록은 직장을 가족처럼 생각하고 공동체의 안정을 추구하지만 인범에게 회사는 성공의 도구이며 개인의 이익이 더 중요하다. '소주전쟁'은 두 사람이 부딪히고 서로가 믿었던 가치관에 균열이 일어나는 과정을 밀도 있게 전개한다. 이는 주류 가치관이 변화해 가는 모습으로도 볼 수 있어 더 흥미롭고 생각해 볼 것이 많다.
두 인물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변화상을 담아낸 '소주전쟁'은 재미와 메시지를 모두 잡아낸 영화다. 권선징악적인 메시지에서 벗어나 인물들의 동기와 욕망에 충실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개한다. 다만, 중반부 이후 인범이 애매한 위치에 서면서 극의 속도감과 긴장감이 동시에 떨어진다. 그의 목표를 끝까지 밀어붙이면서 캐릭터들의 감정과 갈등을 더 끌어올렸다면 좋았을 것 같아 아쉽다.
IMF 외환 위기는 우리의 많은 것을 변화시켰다. 가족이라 믿었던 회사는 직원을 책임지지 못했고, 이는 가정의 붕괴로 이어졌다. 생존을 위해서라도 개인주의적인 사고가 필요하다는 걸 배운 세대는 이전 세대와는 달랐다. IMF 이후 우리나라는 사회, 기업의 시스템은 물론이고 문화와 가치관까지 급격히 변했다. '소주전쟁'은 이 패러다임의 변화를 소주 한 잔에 담아 씁쓸함을 맛보게 한다.
강해인 기자 khi@tvreport.co.kr / 사진= 영화 '소주전쟁'
Copyright © TV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