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 한국과학기술한림원(한림원)이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제1차 첨단과학기술 이공계 인재 양성 정책 포럼’에서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지안 기자
[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가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역량을 갖춘 인재들이 세계적인 연구 거점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대학 연구개발(R&D) 지원체계를 재구성해야한다는 분석이다.
1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 한국과학기술한림원(한림원)이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제1차 첨단과학기술 이공계 인재 양성 정책 포럼’에서 이 같은 지적이 나왔다.
이날 ‘과학기술 인재 위기 시대의 대학 R&D 혁신방안’을 주제로 발표한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은 "최우수 학생의 이공계 기피와 이공계 학생 및 신진연구자의 진로 고민은 질 좋은 연구개발 일자리 부족과 충분하지 못한 보상이 원인"이라고 말했다. 그는 "극심한 인구감소 추세로 양적 위기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상위권대학원 진학이 용이해 지역 및 중소형 대학원은 위기가 더욱 심각해 2050년에는 20개 내외 대학을 제외하면 대학원생을 전혀 확보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대학 및 대학원 교육과 기업 수요 간 괴리가 존재하며, 첨단·전략기술분야는 인재난을 겪는 등 질적 미스매치가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공계 박사 과정을 마친다 하더라도 이들이 원하는 일자리는 현재 1년에 1000개도 안된다는 분석이다.
박 위원은 "2000년대 초반 이공계 기피 이후 과학기술인재정책 및 대학의 연구·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이 본격화됐으나 질적 문제에 대한 대응은 미흡했고, 과학기술인재정책은 수많은 부문별정책의 하위 범주 역할에 그쳤다"고도 했다.
여성, 해외, 은퇴자 등 인재 풀을 확대하고, 사기진작 및 예우 강화, 우수인재(영재) 발굴 등이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과제 단위의 R&D 지원은 연구실 운영을 위한 연구비 수주 경쟁으로 이어져 교원 부담이 증가하고, 사업의 효율성·효과성 저하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이에 박 위원은 "과학기술인재의 양성·활용을 최우선 가치로 설정한 R&D 정책 추진 등 과학기술인재 양성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학령인구 감소와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과학기술인재의 역량 및 사회적 수요에 따른 체계적 육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경쟁력의 핵심인 우수 과학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안정적 생활비 지원(Stipend)과 연구직 경력 경로 비전 제공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특히 질적 양적 미스매치 해소를 강조했다. 대학 R&D지원체계를 재구조화해야한다는 것이다.
박 위원은 "대학 단위 블록펀딩 방식의 R&D 지원과 교육 및 산학협력 지원을 병행해 여건과 역량에 따라 대학원 특성화 여건과 역량을 갖춘 대학원을 세계적 연구 거점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