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디지털교과서·유보통합·고교학점제 등 현장 진통 여전
전임 정부 정책 폐기·철회 등 요구 빗발… "안정화 정책 필요"
대전일보 DB.
전임 정부가 밀어붙였던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등의 각종 교육 정책을 둘러싼 진통이 여전한 가운데, 6·3 대선 과정에서 이를 수정·보완하거나 안정화할 공약 제시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에 따르면 지난 3월 10일부터 4월 6일까지 실시된 '교직원 정책참여 설문조사'(전국 교직원 6309명 참여)에서 응답 교직원의 86.7%는 AI 디지털교과서 정책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어 초등학교 수업 전후 돌봄·교육정책인 '늘봄학교'(77.9%)도 10명 중 7-8명 꼴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늘봄학교는 학부모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것과 달리, 학교 현장에선 제대로 된 준비나 지원 없이 추진됐다는 이유로 불만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교육계에선 AI 교과서나 늘봄학교 등의 진통을 해결할 구체적인 방안 제시를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와 정치권 등에선 아직까지 활발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현장에선 여전히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통합하는 유보통합(유아교육·보육서비스)이나 고교학점제 등에 대해서도 폐지 또는 철회 등을 촉구하며 공론화를 요구하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일찌감치 21대 대선 요구안을 통해 "AI 디지털 교과서를 교과서가 아닌 교육 자료로 규정하고 지역과 학교 간 격차를 키우는 고교학점제를 폐지해야 한다"며 의제를 던졌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공약은 제시되지 않는 모양새다.
이윤경 대전교사노조 위원장은 "윤 정부에서 추진하던 굵직한 교육 정책들이 많았으나, AI 교과서 등의 정책은 현장의 충분한 의견 수렴 없이 성급하게 추진되면서 도입 초기부터 많은 우려와 반대에 직면해 왔다"며 "조기 대선 국면이 열리면서 다양한 교육 공약들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됐으나, 늘봄학교나 유보통합, AI 교과서, 고교학점제 등 핵심 이슈에 대한 구체적 공약은 현재까지 전혀 나타나지 않아 아쉽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AI 교과서는 일선 교실의 실태와 수업 구조를 면밀히 반영해 현장 적합성 평가와 인프라 정비가 충분히 이뤄진 후 신중히 도입돼야 한다"며 "고교학점제는 학교 현장의 인력·시설·운영 여건과 괴리된 제도이므로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전의 한 고등학교 교사는 "현장의 우려와 혼란을 잠재우고, 학교를 안정화할 정책이 필요하지만 대선이 한 달가량 남은 지금도 뚜렷한 정책이 제시되지 않는 모습"이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잘 반영해 공약화했으면 한다"고 전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