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결선 전 3차 경선 토론회
김문수·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30일 ‘국민연금 가상자산 투자 허용’과 ‘5대 메가폴리스 조성’ ‘GTX 전국 확대’ 등 서로의 대표 정책 공약의 허점을 지적하며 공방을 벌였다.
30일 국민의힘 대선 경선 결승 토론회에서 한동훈 후보(오른쪽)와 김문수 후보가 빅텐트 인사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국민의힘 유튜브 캡처
최종 결선을 앞두고 이날 TV조선 주관으로 진행된 3차 경선 토론회 세 번째 토론 시간엔 정해진 주제가 없었지만, 두 후보는 네거티브성 공세보다 서로의 정책을 검증하는 데 집중했다.
한 후보는 김 후보의 ‘국민연금 가상자산 투자 허용’ 정책은 가상자산이 변동성이 심한 만큼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연금은 보수적으로 지켜야 하는 것이고 지속가능성도 중요하고 너무 큰 손해가 나서도 안 된다”며 “국민연금이 가상자산에 직접 투자하게 하는 것의 위험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라고 물었다.
김 후보는 “상당히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안정장치를 해서 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우리 당 공약이 기업과 기관의 가상자산 투자를 제도화해서 기업 투자가들의 가상자산 투자를 연내 3500개 참여하게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한 후보는 “국민연금이 투자하는 건 다른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기관투자를 할 수 있게 하는 현물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를 허용하는 건 알겠지만 국민연금이 직접 투자하게 하겠다는 건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한 후보는 김 후보가 노동자 보호 정책으로 내놓은 ‘근로기준법 5인 미만 사업장까지 확대 적용’ 정책에 대해서도 “많은 소상공인이 걱정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저는 근로기준법 5인 미만 (사업장 적용의) 급격한 확대는 없고 실태조사해서 보수적으로 진행하겠다고 소상공인에게 걱정하지 말라고 말한다”고 했다. 김 후보도 “점진적으로 하겠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김 후보는 지난 ‘4인 토론회’에서도 지적했던 한 후보의 ‘5대 메가폴리스 조성’ 공약이 비현실적이라고 재차 지적했다. 그는 “도시계획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지 않으면 공약이 허구가 된다”고 비판했다.
한 후보는 “(김 후보가) 경기지사할 때 특정 지역 푸는 걸 시도했는데 내가 하려는 게 그것이다. 규제 푸는 것을 하겠다는 건데 허황된 거라고 말하는 게 이해가 안 간다”고 답했다.
이어 김 후보의 ‘GTX 전국 확대 공약’으로 반격했다. 한 후보는 “GTX 재원 확보가 가능한 이야기인가”라며 “전국 GTX 확대가 더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비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