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반도체로 세계적 첨단강국 대한민국!’ 정책비전 발표
’140조' 인프라 구축, ’10조' 인재 육성, ’50조' 생태계 강화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향후 5년간 총 200조원 규모의 과감한 투자로 강력한 AI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내용의 정책 공약을 30일 발표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후보자 선출을 위한 3차 경선 진출자 발표에서 승리와 화합을 위한 메시지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한 후보는 이날 오전 “대한민국의 미래를 걸고 AI와 반도체라는 두 엔진으로 대한민국을 글로벌 기술 강국으로 우뚝 세울 로드맵을 제안한다”며 ▲140조원 규모의 인프라 구축 ▲강력한 컨트럴타워 구축 ▲10조원 규모의 AI·반도체 분야 인재 육성 방안 ▲50조원 규모의 AX 응용 혁신과 스타트업 생태계 강화 등 4대 핵심 과제를 밝혔다.
우선 전국 5개 권역의 메가폴리스에 50조원 이상의 재원을 투입해 학습용(2개)과 추론용(5개)을 위한 데이터센터 7개를 각각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한 후보는 “AI컴퓨팅 파워 강화 및 국산 NPU 고도화를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국산 NPU 기업과 수요 기업에 대한 투-트랙 지원과 함께 AI 개발자를 위한 국산 NPU 통합 최적화 소프트웨어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20조원 이상을 투자해 AI 혁신의 연료인 ‘데이터 고속도로 구축’에도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산업특화별 데이터 허브를 조성한 후에는 산업 데이터와 공공 데이터를 민간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혁신하겠다고 했다.
또 해외투자 유치를 통해 중동·동남아시아,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다문화 AI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 후보는 “(이를 통해) 대한민국을 미국, 중국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AI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고 말했다.
원전 중심의 안정적인 전력망을 조성하고, 초대형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팹이 끊임없이 가동될 수 있는 에너지 인프라 환경도 70조원 이상을 투입해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한 후보는 “민관 협력의 AI Foundation Model 개발을 넘어 AGI 개발을 핵심 원동력으로 삼아 AI 산업의 가속화 및 활성화를 유도하겠다”고 했다.
또 AI 주권 확보를 위한 강력한 컨트럴타워의 구축도 핵심 추진 과제로 꼽았다. 미래전략부를 신설해 범부처간 협력을 이끌어 정책 추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기업의 CAIO(최고 AI책임자)와 유사한 국가 CAIO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대통령실 내에는 ‘AI·반도체 산업정책실’을 신설해 급변하는 글로벌 기술 경쟁에 대한 전략적 대응 능력을 강화하겠다는 조직개편안 방안도 밝혔다.
이와 함께 매년 200명의 국내외 글로벌 AI 최고급(Top-tier) 인재에 민관 매칭으로 파격적인 인건비를 지원하고, AI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학위과정 확충 및 지원, AI 반도체 기초연구센터 설립, 병역특례 확대, 순수과학 국가장학생 제도 신설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AI 인재 육성 과제에는 ’10조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모든 산업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AX 혁신’을 완성하기 위해 AI스타트업 펀드를 조성한 후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AI 스타트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하겠다”며 50조원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다.
한 후보는 “대한민국 AI 3대 강국 비전은 단순한 정책 구상을 넘은 미래를 향한 국가적 약속”이라며 “대한민국을 위대한 국민 여러분과 함께 명실상부한 본격 AI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술 강국으로 반드시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한 후보 측은 5년 동안 총 200조원 중 100조원은 국가 주도로, 100조원은 글로벌 투자나 펀드 등 민간 주도로 재원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캠프 미래성장위원장인 고동진 의원은 “5년간 100조는 연간 20조다. 올해 예산이 673조인데 3%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올해 첨단산업특별 기금으로 50조원이 마련됐는데 (이를 고려하면) 20조원이 국가 예산으로 부담되는 금액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한 후보가 공약한 ‘임기 3년’과 AI 공약의 ‘5개년 계획’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에는 “그래서 대통령실에 CAIO와 미래전략부를 구성해서 운영한다는 것”이라며 “이러한 중요한 전략은 정부가 3년 후 바뀌더라도 계속 지속해 운영돼야 한다는 측면에서 5개년 계획을 잡았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