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8일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본청으로 들어서고 있다. 지난 27일 민주당 대선 후보로 공식 선출된 이 후보는 기존의 신변보호 조치 보다 한층 강화된 국무총리급 인사에게 적용되는 경호를 받게 된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28일 반도체 산업 진흥을 약속하며 '성장론' 설파에 나섰다. 전날 당의 대통령 후보로 최종 확정된 후 첫 공약으로 반도체를 택하며, 중도·보수 공략을 위한 통합 행보도 시작했다. 실용주의·탈이념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외연 확장에 나섰다.
이 후보는 이날 “압도적 초격차·초기술로 세계 1등 반도체 국가를 만들겠다”면서 반도체 산업 공약을 발표했다.
우선 현재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계류된 '반도체특별법'을 신속하게 제정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17일 본회의에서 민주당 주도로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된 반도체특별법은 △국가 반도체위원회 설치 △전력·용수·도로 등 기반 시설 조성에 관한 정부 지원 의무화 △RE100 실행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설비 공급 및 설치 비용 지원 △반도체산업지원기금 조성 및 지역 상생 협력 사업실시 등이 핵심이다.
이 후보는 생산세액공제 등 세제 혜택도 꺼냈다. 국내에서 생산·판매되는 반도체에 대해 최대 10% 생산세액공제를 적용하겠다는 구상이다. 또 기존에 발표했던 해저를 활용한 송전망 구축을 통해 반도체 기업의 RE100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반도체 기업 연구개발(R&D)과 인재 양성 지원 등도 공약으로 내걸었다. 반도체 기업이 국내로 돌아올 수 있도록 유도하는 리쇼어링도 공약에 포함됐다.
이 후보는 “반도체 경쟁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지원과 투자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우리 반도체특별법은 국민의힘의 몽니로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며 “반도체특별법 제정으로 기업들이 반도체 개발·생산에 주력할 수 있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우리나라가 우위를 점하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외에도 시스템반도체와 파운드리 경쟁력 제고를 위해 R&D 지원 및 반도체 대학원 등 고급 인력 양성 인프라를 조기에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반도체 공약 발표에 이어 이날 오후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를 찾아 'K-반도체' 기업 간담회도 개최했다.
이 후보는 후보 확정 후 첫 행보로 중도·보수 통합에도 본격 나섰다.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김대중·김영삼 대통령 묘소는 물론 박정희·이승만 대통령 묘소, 자민련 총재를 거쳐 김대중 정부 시절 국무총리를 지냈던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묘역 등을 참배했다. 진보계열 정당 출신 대통령 후보가 박정희·이승만·박태준 등의 묘소를 찾은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이 후보는 이날 국회 본청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나라가) 갈가리 찢어지지 않도록 통합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