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미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모던 워크 비즈니스 총괄 팀장이 28일 '2025 업무동향지표' 간담회에서 보고서 주요 내용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제공
기업 10곳 중 8곳은 향후 12~18개월 이내 인공지능(AI) 에이전트 도입이 활발해 질 것이라 전망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같은 결과를 담은 보고서 '2025 Work Trend Index(업무동향지표)'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31개국 3만1000명 근로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 365에서 수집된 수 조 건의 생산성 신호, 링크드인의 노동·채용 트렌드, 그리고 AI 스타트업, 학계 전문가, 경제학자 등과 협업을 통해 도출됐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보고서에서 2025년 새롭게 탄생한 프론티어 기업(Frontier Firm)을 조명했다. 이들은 인간과 AI 에이전트가 함께 일하는 하이브리드 팀을 중심으로 유연하게 운영되며, 빠르게 성장하고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이 특징이다.
리더의 81%는 향후 12~18개월 내 자사 AI 전략에 AI 에이전트가 광범위하게 통합될 것으로 기대했다. 전체 리더 중 24%는 자사에 이미 전사 차원의 AI 도입이 이뤄졌다고 응답했으며, 시험 운영(pilot)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고 답한 리더는 12%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AI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간의 시간·에너지·비용에 의존하던 지능이 이제는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리더의 82%(한국 77%)는 2025년을 전략과 운영상의 주요 사항들을 재고해야 할 전환점으로 봤다. 82%의 리더(한국 77%)는 향후 12~18개월 내에 디지털 노동력을 활용해 인력의 역량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과 직무 진화에 따른 다면적인 변화도 예고됐다. 리더의 45%(한국 44%)는 향후 12~18개월 안에 디지털 노동력을 통해 팀 역량을 확대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AI는 인간을 대체하기보다 협업을 통해 가치를 높이는 도구로 인식됐다. 직원들이 AI를 선호하는 이유로 △24시간 이용 가능성(42%)(한국 27%), △일정한 속도와 품질(30%)(한국 33%), △무제한 아이디어 제공(28%)(한국 25%)이 꼽혔다.
보고서는 AI 에이전트의 활용이 본격화되며 에이전트 보스(Agent Boss)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모든 근로자가 에이전트를 만들고 위임하고 관리하며, 에이전트 기반 스타트업의 CEO와 같은 사고방식을 갖춰야 한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직원이 AI 기술을 학습하고 실무 경험을 쌓을 기회를 확보해야 하며, 기업은 이를 위한 교육과 도구를 적극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