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통신 이미지 사진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구성도. 과기정통부 제공
스페이스X의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스타링크'가 국내 시장 상륙 초읽기에 들어섰다. 저궤도 위성통신이 도입되면 기존 정지궤도 위성통신의 한계로 꼽혔던 선박, 항공기에서도 고속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진다. 특히 원양 선박의 선원 복지 향상, 항공기 내 고속 와이파이 서비스 확대 등 이용자 편익이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부터 단계적으로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자의 국내 서비스 개시를 위한 제도적 준비 과정을 수행해 마무리했다. 스타링크가 안테나(단말) 적합성평가, 국경간 공급 협정 승인 등 마무리 절차를 완료하면, 국내에서도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김남철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지난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한 기자 스터디를 통해 "현재 스타링크코리아가 제출한 사업계획서의 세부 사항과 국경 간 공급 협정을 살펴보고 협의하고 있다"며 "사업자가 기술 기준에 맞게 단말 적합성 여부를 신청하고, 절차가 순조롭게 마무리되면 연내 국내 서비스가 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 우주 기업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는 2023년 한국 법인 설립 후 기간통신사업자로 등록을 마치고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 KT SAT 등 국내 통신3사는 스타링크 코리아와 제휴를 맺고 선박, 항공, 오지 등 '통신 사각지대'에서 스타링크 서비스 제공 채비를 갖추고 있다. 저궤도 위성(고도 300∼1500㎞)은 정지궤도 위성(고도 3만6000㎞)에 비해 지구에 가까워 짧은 지연시간으로 고속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2월 서비스에 필요한 주파수 공급을 위해 주파수 분배표를 개정하고, 이달 기술기준 개정, 전파법 시행령 개정으로 이동형지구국 3종(육상·해상·항공) 설치 근거가 마련됐다. 최근에는 위성통신 안테나(단말) 허가의제 도입으로 심사 체계를 정비해 국내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개시에 필요한 제도적 준비를 완료했다. 이에 따라 스페이스X는 안테나 적합성평가와 국경간 공급 협정 승인을 받으면 국내에서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스타링크가 국내에 상륙하면 선박, 항공기 등을 위주로 통신 환경이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에는 정지궤도 위성 기반 저속 통신만 가능했지만, 저궤도 위성망을 통한 저지연·고속 인터넷 제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선원들은 원양어선에서도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스트리밍, 영상통화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항공기 내 고속 와이파이 서비스도 개선될 전망이다. 특히 저궤도 위성통신은 화재, 지진 등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스타링크 단말기는 접시형 또는 패널형 안테나를 설치해 인터넷을 연결하는 식이다. 스타링크코리아가 단말 적합성 평가를 받으면, 인터넷 공유기를 사듯 위성 인터넷 단말기를 구매해 쓸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위성과 직접 통신하는 다이렉트 투 셀(DTC) 기술은 상용화 초기 단계로, 기술 발전에 따라 현실화할 것으로 보인다.
스타링크 상륙은 국내 글로벌 위성통신 기업 경쟁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현재 스타링크뿐 아니라 위성 업체 유텔샛 원웹도 한화시스템과 손잡고 한국 시장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스타링크가 B2C를 겨냥한다면, 원웹은 B2B 서비스가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마존 카이퍼는 정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바 없지만, 실무 문의는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대를 대비해 국제표준 기반 연구·개발(R&D)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3200억원 규모의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사업을 통과해 올해 총 250억원을 투입해 본격 연구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우주항공청과 '6G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쏠리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주관기관으로 선정하고, 2030년까지 자체 위성통신망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남철 국장은 "위성통신 탑재체 기술은 안테나, 빔포밍 기술 등을 보유한 이동통신사업자들이 들어와 있다"며 "컨소시엄을 통해 국내에 경험 있는 기업들이 들어와 참여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동·위성통신 부품기업들의 참여를 확대해 핵심기술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출연연구소의 축적된 기술을 민간에 이전·확산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나인기자 silkni@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