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전 국회서 의사과학자 양성 관련 토론회 열려
22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형 ‘하버드-매사추세츠공과대(MIT) HST(Health Science and Technology) 모델’ 구축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홍아름 기자
“꿈이 있는 젊은 의사들이 최첨단 기초과학과 만날 때, 위대한 발견이 탄생한다.” 1985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조지프 골드스타인의 말처럼, 기초과학과 임상의 가교 역할을 하는 의사과학자(MD-Ph.D)는 현대 의·과학 발전을 이끄는 핵심 인재로 꼽힌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의사과학자가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22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는 한국형 ‘하버드-매사추세츠공과대(MIT) HST(Health Science and Technology) 모델’ 구축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HST는 하버드대와 MIT가 손을 잡고 의료와 과학기술을 융합해 의사과학자를 양성한 성공 사례다. 이날 참석한 의료·과학계 전문가들과 정부 관계자들은 이 모델을 바탕으로 국내 현실에 맞는 인재 양성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현재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학부부터 박사후 연구원 단계까지 이어지는 전주기적 지원체계를 갖추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국내에서 의사과학자 진로를 택한 의대 졸업생 비율은 1.6%에 불과하다. 미국이 매년 3%(약 600명)를 기록하는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크다.
이호영 서울대 연구부총장(의대 교수)은 “의사과학자의 진로를 택하더라도 연구 기회 부족과 직업적 불안정성으로 결국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고 진단했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선 실질적인 연구 환경과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생태계를 꾸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박소라 인하대 의대 교수는 “하버드-MIT의 HST처럼 물리적으로 한 공간에서 의사와 과학자가 협업하는 구조가 필요하다”며 “병원을 떠나지 않고 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인력 운영의 유연성과 행정적 지원이 필수”라고 했다. 이어 “의사과학자 양성은 단일 사업이 아니라 생애 전주기에 걸친 체계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준행 전남대 의대 교수는 보다 근본적인 생태계 개편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단일 부처 주도로는 의사과학자를 양성할 생태계를 조율하기 어렵고, 복지부·과기부·교육부 등 관련 부처 간 정교한 협력이 필요하다”며 “기초의학 진입을 가로막는 낮은 보수와 같은 장벽을 고려해, 부처 간 정교한 협력과 함께 현실적인 유인책, 장기적 로드맵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도 이러한 문제의식에 공감하며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인정했다. 홍승령 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은 “국내 수련과정과 의대 교육 제도가 미국과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다 보니 기존 제도에 한계가 있었다“며 ”교육과 연구, 개인과 기관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새로운 체계와 병원, 대학, 특성화대학 간 융합적 협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문서윤 과기정통부 첨단바이오기술과 사무관도 “지금까지 의사과학자 관련 사업이 부처별로 분절적으로 운영돼 온 것이 사실”이라며 “복지부를 포함한 유관 부처와 긴밀히 협력해 실효성 있는 정책과 통합 모델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