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웹툰 캐릭터챗 인기
누적이용자 335만명 돌파
웹툰캐릭터와 양방향 대화
성격·말투 살려 몰입감 ‘업’
원작 열람에 매출도 상승해
[로이터 = 연합뉴스]
최근 국내 웹툰 시장의 성장세가 주춤하자 네이버웹툰이 인공지능(AI)을 서비스에 적극 도입해 수익성을 높이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특히 웹툰 캐릭터와 실제로 소통하는 느낌을 주는 챗봇을 AI로 구현한 ‘캐릭터챗’ 서비스로 추가 매출을 올리는 동시에 원작 웹툰 조회 수도 늘리는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어 주목된다.
15일 네이버웹툰은 지난해 6월 시작한 AI 챗봇 캐릭터챗 접속자가 현재 335만명을 넘었고 이용자와 AI가 주고받은 메시지 수는 7000만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네이버웹툰이 자체 개발한 캐릭터챗은 웹툰 캐릭터의 말투, 성향, 작품 정보 등을 세세하게 학습해 실제 캐릭터와 그 세계관 속에서 대화하며 몰입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대화가 길어질수록 친밀도가 쌓이는데 친밀도 레벨이 오르면 이용자를 부르는 호칭과 말하는 태도가 바뀐다.
예를 들어 웹툰 ‘시월드가 내게 집착한다’의 남자 주인공 캐릭터 ‘테르데오’ 챗봇은 친밀도 1단계에서 이용자를 ‘영애’라고 부르지만 더 높은 단계에서는 ‘그대’ ‘당신’ 등으로 호칭이 바뀌고 딱딱하고 차가운 말투에서 다정한 말투로 점차 변하는 식이다.
캐릭터 설정에 맞춘 이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눈에 띈다. 실제 웹툰 ‘귀혼’에 등장하는 ‘천령’ 챗봇은 귀신을 쫓는 퇴귀사 가문의 딸이라는 작품 속 인물 특징에 따라 카드점을 봐준다. ‘비주얼 노벨’류의 게임처럼 캐릭터챗 화면에 등장하는 캐릭터가 눈을 깜빡이고 거울을 더 가까이 보는 등 움직여 생동감을 주는 것도 특징이다.
출시 당시 4명이었던 챗봇 캐릭터는 이후 이용자의 추가 요청을 반영해 현재 12명으로 늘어났다.
캐릭터와 이용자 간 유대감을 높이는 캐릭터챗의 효과는 원작 조회 수와 관련 매출까지 높이는 결과로 이어진다.
네이버웹툰이 최근 ‘별이삼샵’ 주인공 ‘설효림’ 캐릭터, ‘99강화나무몽둥이’의 ‘러브’ 캐릭터와 캐릭터챗으로 대화를 나눈 이용자를 분석한 결과, 웹툰 캐릭터와의 대화 경험이 원작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설효림 캐릭터챗 이용자들이 원작을 열람한 횟수는 이 캐릭터 챗봇이 출시되기 일주일 전 대비 97%나 늘었다. 같은 기간 이 작품을 열람한 이용자 수는 29%, 웹툰 미리보기 결제자 수와 매출액은 각각 22%, 44% 증가했다.
러브 캐릭터챗 이용자는 원작 열람 회차 수가 같은 기간 77% 늘었고 미리보기 매출액도 31% 뛴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를 이어가려면 추가 결제가 필요한 부분 유료화 서비스인 만큼 캐릭터챗 자체에서 나오는 수익에 더해 원작 웹툰 매출도 추가로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해당 캐릭터가 등장한 작품을 보는 것뿐 아니라 네이버웹툰 애플리케이션(앱)을 전보다 더 많이 쓰는 경향도 보였다.
캐릭터챗 이용자를 대상으로 두 달간 앱 내 활동성 지표를 비교한 결과, 직전 같은 기간 대비 새롭게 본 작품 수는 32%, 앱 방문일과 결제금액은 각각 8%, 4% 늘어난 것이다.
이 밖에 네이버웹툰은 이용자가 기존에 감상한 이력을 바탕으로 좋아할 만한 작품을 첫 화면에 추천해주는 ‘알아서 딱!’, 사진을 올리면 네이버웹툰의 유명 작가 그림체로 그려주는 ‘웹툰 캐리커처’ 서비스에도 AI를 활용하고 있다.
김효정 네이버웹툰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이번 분석 결과에 맞춰 캐릭터챗 종류를 꾸준히 늘릴 계획”이라며 “AI와 지식재산권(IP) 결합의 시너지가 계속 나오도록 실험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