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 관세 폭풍속으로
반도체 들어가는 완제품 정조준, 가전·부품업체도 긴장
최상목 부총리 산업경쟁력강화TF 지속…협상·지원책 준비
(워싱턴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에서 워싱턴 백악관으로 돌아 가기 위해 앤드루스 합동 기지로 향하는 전용기 내서 취재진을 만나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 관세 예외는 아니다"고 밝히고 있다. 2025.04.14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워싱턴 AFP=뉴스1) 우동명 기자
미국이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에도 '반도체 관세'를 부과할 의사를 내비치며 국내 반도체 업계 긴장감이 높아졌다. 반도체 칩·모듈뿐 아니라 반도체가 들어간 주요 전자제품에까지 관세를 부과하면 글로벌 반도체 수요 전반이 위축돼 삼성전자·SK하이닉스 수출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일부 기업에 적용하겠다고 한 '유연성'에 기대를 걸면서도 "결국 한국 정부가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지난 13일(현지시간) ABC 방송과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면제 대상 품목에 대해 "향후 반도체 관세 범주에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발언은 조만간 세부 내용이 발표되는 반도체 관세가 칩·모듈 등 반도체 제품뿐 아니라 반도체가 적용된 전자제품에 포괄적으로 적용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앞서 백악관이 밝힌 상호관세 제외 대상은 칩·HDD(하드디스크드라이브)·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와 같은 반도체 제품뿐 아니라 스마트폰·노트북 등 전자제품이 포함됐다.
당초 업계에선 미국이 반도체 제품에만 관세를 부과한다는 전제로 "한국 수출에 큰 타격을 없을 것"이란 기대가 나왔다. 국내 기업이 직접 반도체 제품 형태로 미국에 수출하는 물량은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이 주요 전자제품에까지 반도체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은 이에 따른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이 전자제품에 관세를 물리면 제품 가격이 뛰어 소비가 줄고 이는 반도체 수요 감소로 이어진다. 미국의 관세 부과와 중국 등 상대국의 보복관세 여파로 글로벌 교역이 줄어 글로벌 경기가 둔화할 수 있는 것도 반도체 업계엔 위험 요인이다.
업계 관계자는 "애초부터 관심사는 반도체 제품 자체보다는 '반도체가 들어가는 완제품'에 관세가 얼마나 부과되느냐였다"며 "안 그래도 팬데믹 이후 PC·모바일 수요 부진으로 반도체 업황 회복이 더딘 상황인데 관세까지 부과되면 수출에 타격이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반도체 관세 관련 별도 입장을 내지 않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반도체 관세가 반도체 업체뿐 아니라 전자제품·부품 업계에도 폭넓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삼성전자·LG전자를 비롯해 각 그룹 주요 가전·부품업체도 긴장하고 있다.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유연성'에 일부 기대를 걸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3일 반도체 관세와 관련 "일부 기업에 있어서는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미국 내 투자를 늘리는 기업에는 반도체 관세를 차별 적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앞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에 각각 370억달러, 38억7000만달러를 투자하기로 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추가 투자를 압박하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4일 서울 공관에서 열린 경제안보전략 TF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왼쪽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오른쪽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4.14. chocrystal@newsis.com /사진=조수정
관세 부과가 미국 정부의 결정인 만큼 국내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결국 한국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우리 정부는 미국과 논의를 이어가는 한편 반도체 기업을 위한 지원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14일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미국에서) 매일 새로운 정책이 발표되고 있고 조만간 반도체 분야에 대한 관세 발표가 예고되는 등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아직도 큰 상황"이라며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국내적으로는 우리 기업이 처한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최상목 경제 부총리를 중심으로 하는 산업경쟁력강화 TF도 계속 가동해서 우리 기업의 관세에 대한 협상을 진행하겠다"고 했다.
유선일 기자 jjsy83@mt.co.kr 최민경 기자 eyes00@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