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 대선 레이스 앞두고 지지율↑ 총력
주 40시간 유지하며 유연근로제 활용
“총 근무시간 줄지 않아 급여 변동 없어”
민주당 주 4.5일제 “비현실적 정책” 비판
업종 특성 고려한 주 52시간 폐지 추진도
[이데일리 박민 기자] 본격적인 대선 레이스를 앞두고 국민의힘이 당의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공약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법정 근로시간(주 40시간)을 유지하면서 유연근로제를 통해 ‘주 4.5일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6·3 대선 공약으로 추진한다. 또한 업종 특성을 고려한 주 52시간 폐지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국회 본관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국민의힘은 법정 근로시간 40시간은 유지하되 유연근무제를 통해 실질적으로 4.5일제 이점을 누릴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서 ‘대선 공약’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만 유연근로제를 도입하더라도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 부연했다.
그는 주 4.5일제를 시범 실시하고 있는 울산 중구청의 ‘금요일 오후 휴무’ 제도를 소개하며 “직원들은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하루 8시간 기본 근무 시간 외에 한 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는 4시간만 근무한 뒤 퇴근하는 방식”이라며 “총 근무시간이 줄지 않기 때문에 급여에도 변동이 없다”고 설명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업무 공백을 막고 시민에게 기존과 같은 서비스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정원의 25% 범위 내에서 모든 직원들이 순환 방식으로 제도를 이용하고 있다”며 “기존 주 5일 근무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시간 배분을 통해 주 4.5일제의 실질적인 워라밸 개선 효과를 가져오는 현실적인 대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국민의힘에서 주 4.5일제 도입을 공언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진보 진영에서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대 대선과 22대 총선을 앞두고 주 4.5일제 도입을 공약한 바 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를 의식한 듯 민주당을 향해 “민주당이 주장하는 주 4일제 및 4.5일제는 근로 시간 자체를 줄이지만 받는 급여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비현실적이고 포퓰리즘적인 정책”이라며 “근로시간을 줄이게 되면 받는 급여도 줄어드는 것이 상식이라는 비판에 대해 민주당은 설득력 있는 설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번 주 4.5일제 도입과 함께 업종 특성을 고려한 주 52시간 폐지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을 비롯해 주 52시간 규제로 인해 생산성이 저해되고 있는 산업을 면밀히 분석해서 실질적인 제도 개선방안도 함께 마련하겠다”며 “국민들 개개인의 삶의 방식과 업무 형태가 다양해진 오늘날 일률적인 주 5일 근무와 52시간 상한 규제는 오히려 생산성과 자율성 모두를 저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지도부에서 밝힌 공약과 관련해 “주 4일제로 가야 한다는 주장들도 일부 있는데 우리나라가 처한 경제 상황에서 근로 시간을 줄이기는 어렵다”면서 “4.5일이 시간을 축소하자는 뜻은 아니고 근로시간 유연화다. 기업에서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근로시간이 아니고,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주자는 차원의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박민 (parkm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