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아이폰 허위 광고 신고 접수
서울YMCA 측 '빠른 조사·조치' 촉구
아이폰16 애플인텔리전스. 사진=애플
공정거래위원회가 애플의 인공지능(AI)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 허위 광고 신고를 접수해 조사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공정위의 빠른 조사와 조치를 촉구하면서 "현재 지원되는 애플 인텔리전스는 껍데기일 뿐"이라고 재차 지적했다.
공정위는 3일 애플이 표시광고법을 위반했다는 서울YMCA 시민중계실 신고에 따라 조사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앞서 애플이 아이폰 16시리즈와 아이폰16e에서 개인화된 AI 서비스를 제공할 것처럼 광고한 뒤 해당 기능 출시를 미뤄 표시광고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적절한 보상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공정위 관계자는 "관련 신고를 접수하고 검토하는 중"이라며 "위법성이 확인된 후에야 조사에 정식으로 착수한다"고 말했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이날 "애플이 이번 아이폰 운영체제(iOS) 18.4 업데이트를 통해 애플 인텔리전스를 지원한다고 밝혔지만 여기에는 광고했던 '온디바이스 차세대 AI 시리'와 '개인화된 정보 제공' 등의 핵심 기능이 빠졌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이 점과 관련해 미국에서 소비자 집단소송이 제기된 바 있으며 소송의 핵심 쟁점은 애플의 광고가 제품이 실제로 갖고 있지 않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속여 소비자가 프리미엄 가격으로 구매하도록 오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애플 인텔리전스의 해당 기능이 실제 광고와는 달리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것에 대한 우려가 내부에서 제기됐던 사실도 밝혀져 소송의 근거로 사용됐다고 덧붙였다.
그런데도 애플은 여전히 공식 홈페이지에 '한국어 애플 인텔리전스'를 강조해 제품을 판매해 피해를 확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애플이 소비자 기만을 즉시 멈추고, 업데이트를 통해 지원되는 기능이 애초에 광고했던 내용과 상이하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능들이 제외된 것인지 하나도 빠짐없이 소비자에게 고지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이어 "공정위가 신속한 조사·조치와 검찰 고발을 통해 더 이상 소비자 피해가 확대되지 않도록 엄정히 대처해 줄 것을 요청한다"며 "이번 사안과 관련된 모든 사실과 공정위 조사 진행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대응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에서도 같은 이유로 아이폰 구매자들이 캘리포니아 산호세 지방법원에 애플을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