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찬반 여론 6대 4로 쪼개져
정치권, 전향적 승복 자세 없어
"양측 승복하는 메시지 내야 분열 막아"
오는 4일 열리는 탄핵 선고를 앞두고 4개월여간 이어져 온 탄핵 찬반 진영간 의견 대립이 최고조로 달아오르고 있다. 정치권에서 승복하지 않는 분위기를 내비치면서 일각에선 헌법재판소의 선고 결과마저 불복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된다.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은 3일 오후 7시 서울 종로구 안국동 사거리 일대에서 탄핵 촉구 집회를 개최한다. 집회 종료 이후부터 철야 농성으로 이어간다. 전광훈 목사를 주축으로 한 자유통일당 등은 천도교 수운회관 인근에서 탄핵 반대 집회를 연다. 탄핵 찬반 단체들은 선고 당일인 4일 13만3000명 규모의 집회를 신고했다.
탄핵 찬반 집회와 시위는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때와 달리 장기간 동안 이어지고 있다. 2017년에 최대 43만명이 모이는 등 대규모 집결이 이뤄졌지만 현재만큼 양분된 모양새는 아녔다는 게 공통된 시각이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5~27일 유권자 1000명에게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해 물은 결과 탄핵 찬성이 60%, 반대가 34%로 조사됐다. 박 전 대통령이 헌재의 탄핵 심판을 받기 전 마지막 조사였던 2017년 3월 첫째 주에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 77%가 찬성하고 18%가 반대한 것과 대조적이다.
시민들은 내란을 옹호하고 헌정 질서를 파괴한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해야 한다는 입장과 거대 야당을 막기 위해 어쩔 수 없는 통치 행위였다는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탄핵을 지지하는 금융권 직장인 오모씨(43)는 “대통령이 명백하게 잘못했다면 탄핵해야 민주주의”라며 “대내외 상황이 어려운데 정부까지 공백이라 빨리 파면한 뒤 새 대통령을 뽑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탄핵 시도를 정치적 음모로 규정하고 저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모씨(34)는 “거대 야당이 탄핵을 지나치게 남발하고 있어 문제”라며 “파면할만한 사안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정치권이 전향적으로 헌재 선고에 승복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 것도 갈등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힌다. 당사자인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승복 여부에 대해 말을 아끼는 중이다. 정치인들조차 승복하지 않는 분위기를 보이면서 시민들은 헌재 판단을 불신하는 모양새로 이어지고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달 31일부터 2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탄핵 심판 결과와 관련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는 응답자 50%, 수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44%로 집계됐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정치권의 양극화가 광장 정치의 분열로 이어지면서 원하지 않는 판결이 나오면 수용하기 힘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결과가 나오면 윤 대통령과 여야 양측이 승복하고 국가 분열 사태를 해결하는 메시지가 나와야 조금이라도 사회통합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류병화 기자 hwahwa@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