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탄핵 심판 방청 신청 폭주…"우리가 장악하자"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방청 경쟁률 '훌쩍' 넘어
헌재 "보안 검색 강화…평소보다 입장 오래 걸려"
헌재 일대 진공화…경찰청·서울청 오늘부터 '을호비상'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탄핵 찬반 진영 간 깊어진 갈등이 '선고 방청 신청 신경전'으로까지 번지는 기류다. 특히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주로 활동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신청을 통해 20석으로 제한된 방청석을 차지함으로써 세 과시를 해야 한다는 취지의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다.
대통령 극렬 지지자들이 중심이 된 법원 폭동사태를 올해 초 경험했던 만큼, 이런 움직임을 둘러싼 우려도 제기되는 가운데 헌법재판소(헌재)는 선고 당일 평소보다 철저한 검문 검색을 실시하겠다는 방침이다. 경찰도 헌재 경내에 특공대를 배치하는 등 불법 행위에 대해선 무관용 체포·구속 수사를 원칙으로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헌재는 3일 오후 5시까지 사흘 동안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방청 신청을 받고 있다. 접수가 완료되면 전자 추첨을 거쳐 20명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이들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대심판정 현장에서 지켜볼 수 있다.
전날 오후 6시 기준 방청 신청 인원은 7만 5천명으로 집계됐다. 접수 마감이 되기 전인데도 경쟁률이 3750 대 1에 달한 것이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방청 경쟁률인 769대 1보다 4배 가량 치열한 수준이다.
이처럼 뜨거운 경쟁의 배경에는 윤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찬반 진영의 깊은 갈등도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주로 활동하는 것으로 지목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방청석을 많이 차지해야 한다며 적극적인 신청을 독려하는 움직임이 포착됐다. 여기에는 "연차쓰고 방청 가자", "무조건 더불어XX당이 장악 못하게 해야 한다", "방청 신청을 해서 우리들이 자리를 다 채우자" 등의 글이 줄줄이 게시됐다.
윤 대통령 지지 집회 관련 공지가 이뤄지는 카카오톡 채팅방에서도 탄핵심판 선고 방청 신청 온라인 주소 링크나 안내 영상 등이 '헌재 방청신청 선점하자'는 제목을 달고 활발하게 공유되고 있다.
이런 방청 신청 과열화 현상과 맞물려 선고 당일 헌재 안팎의 혼란이 우려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누리꾼들 사이에선 "보안검색대에서 제대로 된 검문이 이뤄져야 할 것", "인용이든, 기각이든 폭동이 일어날 것 같아서 방청 신청을 못 하겠다", "파면되면 100% 폭동이 날 것 같다", "이러나 저러나 목숨을 건 방청"이라는 반응이 쏟아졌다.
헌재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흉기 등 위험한 물품을 소지했는지 여부를 엄격하게 검색할 예정이라 (방청객 등이) 입장하는 데 평소보다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법원 내부에도 경찰과 보안요원 등을 배치해 안전 관리를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2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로 이어지는 안국역 2번과 3번 출구가 폐쇄돼 있다. 헌재 반경 100m 이내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작업을 사실상 조기 완료한 경찰은 선고 당일 '갑호비상' 을 발령하고 가용인력을 100% 동원할 방침이다. 류영주 기자
경찰도 헌재 안전 확보에 총력을 쏟고 있다. 이미 전날 헌재 반경 150m 이내 구역을 비우기 위한 '진공화' 조치를 완료했다. 이를 위한 차단선 구축에 경찰 버스 등 차량만 200여대가 동원됐다. 진공 구역에선 집회·시위가 금지된다.
경찰은 탄핵심판 선고 당일에는 전국에 최고 경비 태세인 '갑호비상'을 발령, 가용 인력을 총동원해 집회 상황을 관리하겠다는 계획이다. 서울에만 경찰 기동대 210개 부대, 약 1만 4천명이 투입되며 헌재 경내에는 경찰 특공대까지 다수 배치된다. 경찰청과 서울경찰청은 3일 오전부터 '을호비상'을 발령해 사실상 선고일에 준하는 '철통 경비' 체제에 돌입한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전날 경찰지휘부 화상회의를 열어 준비 상황을 점검한 뒤 대국민 호소 메시지도 내놨다. 이 대행은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찰 조치에 대한 국민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우리 공동체의 안전 수준이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도록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아울러 "시설파괴, 재판관 등에 대한 신변 위해, 경찰관 폭행에 대해선 법치주의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하겠다"며 "현행범 체포와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경고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CBS노컷뉴스 박인 기자 parking@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