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경은 흐름을 읽고 자신의 때가 오기를 기다릴 줄 아는 선수가 됐다. photo KLPGA
"마음의 신호를 무시하고, 지나친 완벽주의적 사고로 무의식을 점령당한 선수의 이야기를 통해 완벽을 새로 정의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D 선수는 청소년대표를 목표로 최선을 다해 훈련하는 체조선수입니다. 훈련할 때는 물론이고, 일상에서도, 사람들과 대화할 때도, 밥을 먹을 때도 완벽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나의 말과 대답이 다르면 어떡하지?' '내가 말실수를 해서 무슨 문제가 생기면 어떡하지?' 등등 실수를 지나치게 두려워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고, 언제나 자신이 완벽하게 보이기를 바라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완벽이라는 압박 속에서 고된 훈련을 하던 D 선수는 결국 번아웃(Burn-Out) 증후군을 진단받았습니다."
프로게이머 페이커와 배드민턴 안세영 등 금메달리스트, 국가대표를 포함하여 운동선수 3000여명의 심리상담을 지원한 김미선 박사가 쓴 '실패를 생각하지 않는 연습'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김 박사는 이 책에서 몸과 마음이 잔뜩 지쳐 있는 D 선수에게는 새로운 걸 채우는 것보다 비우는 게 더 중요한 과제라고 판단한다. 그의 회복을 위해 김 박사가 제시한 3가지 방법은 ①시각화 훈련 ②호흡 ③마음일기 등이다. 시각화 훈련은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그리며, 마주하는 장애물을 극복하는 모습을 세세하게 상상하는 훈련이다. 호흡에 집중하면 지금 이 순간에 머무를 수 있고, 잡념이나 부정적인 생각에서 멀어질 수 있다. 한 번에 하나만 생각하는 것이다. 5초 이상 숨을 들이쉬고, 10초 이상 숨을 내쉬며 긴장이 풀어지는 것을 느낀다. 마음일기는 자신의 감정, 생각, 반응을 기록하며 그것들을 객관적으로 되돌아보고 분석하는 과정이다. 제삼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자신의 마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지난 베트남 동계훈련 기간 박현경이 열심히 읽던 책이다. "만나는 사람마다 이 책을 읽으라고 권한다"며 "완벽을 추구하려다 오히려 탈진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골프선수에게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만나는 사람마다 읽어볼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골프를 하지 않는 시간, 박현경은 독서를 즐긴다. 책에서 와닿는 대목을 노트에 옮겨 적으면서 마음을 가라앉히고 새로운 목표를 세운다. 박현경의 말이다. "자기계발서, 심리, 수필, 소설 등을 두루 읽는다. 자기계발서는 꿈과 열정이 있는 사람에게 더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라 좋은 것 같다. 늘 좋은 책들이 많이 나오는데 거기서 배우는 것들이 많다."
그가 인터뷰에서 꼽았던 책들은 다양하다. 웨이슈잉이 쓴 자기계발서 '하버드 새벽 4시 반'을 읽고는 노력과 열정, 행동력이 가져다주는 힘에 공감했다. 이치조 미사키의 로맨스 소설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를 읽고는 "진짜 사람을 좋아하고, 사랑이라는 것이 이렇게까지 될 수 있다는 생각에 엄청나게 울었다"고 한다.
박현경이 독서의 힘을 절감한 것은 2년5개월 동안 준우승만 9번 하며 우승이 없던 시기였다. '내가 기회를 잡지 못하는 선수인가' 하는 마음고생이 심했다고 한다. 이때 독서는 마음을 다독이고 안정을 찾는 법을 알려주었다. "책을 보며 많이 배우고 저의 상황에 대입해 보는 스타일"이라며 "오래전부터 멘털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는데 많이 좋아졌다"고 했다. 박현경은 지난해 KLPGA투어 최초로 2주 연속 연장 우승을 거두며 '연장전의 여왕'이란 찬사를 받았다.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