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TV 신인규 기자]
오늘 장이 열리기 전 우리가 새롭게 알게 된 것들입니다.
●관세 앞두고 더 커진 환율 걱정 달러-원 환율은 야간시장에서 1,473원선까지 상승했습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시행을 앞두고 원화 약세 흐름이 계속되는 겁니다. 간밤 유럽 지역 물가 하락에도 유럽중앙은행이 4월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을 수 있다는 보도가 아니었다면 환율은 더 상승했을지도 모릅니다. 야간 거래에서 달러-원 환율은 한때 1,477원까지 올랐습니다.
이날 금 선물가격은 전날보다 1.4% 가까이 오르며 트로이온스당 3,150달러선을 넘었는데, 이것은 시장에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크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이 역시 다른 나라 통화보다 약세를 보이는 원화 가치에 긍정적인 요인은 아닙니다.
대체로 원화 가치가 낮아지면, 즉 환율이 높아지면 달러를 원화로 바꿔 한국 주식시장에 들어올 유인이 적어집니다. 미국의 관세 시행을 앞두고 우리 증시 대외 환경이 좋다고 보기는 여러모로 어려운 상황입니다.
오늘 장에 우리가 던져 볼 질문을, 이 지점에서 하나 찾을 수 있습니다.
●김승연 회장 증여, 한화 주가 변수될까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보유 중인 지주사 한화 지분 절반을 세 아들에게 증여하기로 했습니다. 김 회장의 보유지분 가운데 절반인 한화 주식 11.32%가 증여 대상인데요.
오는 4월 30일을 기준으로 장남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4.86%를 받고 차남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과 삼남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이 각각 3.23%의 지분을 취득하는 구조입니다.
현재 한화 주가는 4만원대 초반이고, 지난 2018년 이후 한화 주가가 처음으로 4만원이 넘은 지금 시점에 증여를 결정했으니 주가가 가장 쌀 때를 노린 증여는 아니라는 점을 시장에 보여주려는 의도로 읽히는데요.
최근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등으로 한화 그룹주에 대한 투자자들의 시선이 곱지 않은 상황에서 나온 이같은 이슈를 시장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증여세라는 측면에서 한화 그룹 주가를 살펴볼 필요도 있어 보입니다. 과세 기준은 한 달 후인 4월 30일 기준 전후 2개월 주가 평균 가격으로 결정되니, 오는 6월말까지는 지주사 한화의 주가가 하락세를 보여야 총수 일가에 유리한 상황입니다.
이 이슈를 잘 들여다보면, 오늘 시장에 던져 볼 만한 두 번째 질문이 생깁니다.
●두산퓨얼셀, 4천억 계약 무산 여파는 수소연료전지 개발 기업 두산퓨얼셀이 장 마감 후 4천억원 규모의 연료전지 시스템 공급 계약이 해지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회사는 지난 2022년 한전기술과 금호건설, LS일렉트릭과 수소연료전지 공급계약을 맺었는데, 당사자간 합의로 계약이 없던 일로 된 겁니다.
미리 받은 돈이 없던 계약이었기 때문에 계약 불발로 두산퓨얼셀에 미치는 재무적인 마이너스 영향은 없다지만, 한 해 매출액에 맞먹는 계약이 공중으로 사라진 것이 주가에는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입니다.
청정수소 인증제가 본격 시행된 이후에도 상승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는 청정에너지 관련주 투자심리에도 좋은 소식은 아니겠습니다.
그래서 간 밤 나온 소식들을 찬찬히 되짚어보면, 오늘 우리 증시에 던져봄직한 큰 질문은
-미국의 관세 부과를 앞두고 시장에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점점 커지는 데 따른 원화 가치 하락이 우리 증시에 추가 부담요인이 될지
-한화그룹의 승계 작업과 관련해 나온 증여라는 이슈가 지주사 한화의 주가엔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한 해 매출액 수준의 수소전지연료시스템 계약이 무산된 두산퓨얼셀 관련 이슈가 개별종목 뿐 아니라 수소 관련주 투자심리를 위축시킬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이 화두들이 오늘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오프닝 벨이 울리기 전까지 저희와 함께 살펴보시죠.
신인규 기자 ikshin@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