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재개 첫날, 2차전지·바이오 급락
대차잔고 많은 종목 중심으로 하락세 현실화
증권가 "변동성 불가피, 반도체·은행 등 방어 전략"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공매도 재개 첫날인 3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2557.98)보다 44.54포인트(1.74%) 내린 2513.44에,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693.76)보다 10.34포인트(1.49%) 하락한 683.42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66.5원)보다 4.1원 오른 1470.6원에 출발했다. 2025.03.31. bluesoda@newsis.com
[서울=뉴시스] 배요한 기자 = 공매도 전면 재개 첫날, 대차잔고 비중이 높은 2차전지와 바이오 업종 종목들이 일제히 급락세를 나타냈다. 앞서 시장에선 대차거래 잔액 비중이 높은 종목들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우려가 현실화 된 모습이다. 특히 2차전지주는 업황 부진과 실적 악화 등 악재가 겹치며 추가 하락 우려가 커지고 있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차잔고 비중이 높은 2차전지 및 바이오 종목들이 장 초반부터 동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11시 기준 에코프로는 전 거래일보다 9.68%(5500원) 급락한 5만1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에코프로는 52주 신저가를 경신하며 5만원선 마저 위태로운 상황이다.
이외에도 포스코퓨처엠(-6.50%), 에코프로머티(-6.40%), LG에너지솔루션(-5.48%), SK이노베이션(-4.55%), 삼성SDI(-4.16%), POSCO홀딩스(-3.77%), LG화학(-3.86%) 등 주요 2차전지 종목들이 일제히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 엘앤에프 등은 모두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2차전지 업종은 전방 산업인 전기차 시장의 부진으로 실적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진수 흥국증권 연구원은 "올해 1분기 2차전지 업종의 실적은 전분기 대비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주요 고객사의 지속적인 재고 조정에 따른 수요 둔화가 핵심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전기차 완성차업체(OEM)뿐 아니라 배터리셀, 소재 업체까지 밸류체인 전반에서 악성 재고가 누적돼 연쇄적 부정 효과와 채찍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공매도에 취약한 제약·바이오 업종도 대차잔고 비중이 높은 종목들을 중심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시각 셀트리온제약(-4.04%), HLB(-3.67%), 셀트리온(-3.05%), 삼성바이오로직스(-2.57%), 차바이오텍(-1.71%) 등이 하락 중이다.
28일 기준 주요 종목의 대차잔고 비율은 에코프로비엠 15.15%, 에코프로 12.62%, HLB 8.50%, 포스코퓨처엠 8.05%, 삼천당제약 5.50%, 알테오젠 4.75%, 차바이오텍 11.40% 등으로 집계됐다.
높은 공매도 잔고 비중도 향후 주가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공매도 잔고 비중(26일 기준) 상위 기업에는 에코프로비엠 3.52%, 에코프로 2.80%, 포스코퓨처엠 2.45%, HLB 2.21% 등이 최상위권에 올라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종목은 추가 하락에 대한 경계감도 커질 전망이다.
증권가에서는 공매도 잔고가 평균 수준으로 회귀하는 과정에서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코스닥은 개별주식선물이 상장되지 않은 종목이 많고, 실적 대비 고평가된 종목 비중도 높아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지현 다올투자증권 관계자는 "공매도 잔고가 평균 수준으로 회귀하는 과정에서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하다"며 "전년 대비 높은 주가 상승률을 기록한 종목들 가운데 코스닥 중소형주 비중이 크다. 이들 종목은 공매도의 대안이었던 개별주식선물이 상장되지 않은 기업들이 대부분이므로, 지난달 말 대비 대차잔고가 증가했거나 외국인 지분율이 상승한 종목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2009년과 마찬가지로 외국인 순매수가 코스닥보다는 코스피 대형주에 집중되면서, 개별 종목들의 수급 변동성 이후 대형주 중심의 강세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며 "방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면 시가총액 상위 업종인 반도체, 은행, 상사·자본재 업종에 대한 매수 전략이 유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공매도 재개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단기 트레이딩 자금이 유입되고 외국인 투자자의 시장 참여가 증가하면서, 오히려 수급 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양해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2021년에도 공매도 재개 전 하락 후 반등한 바 있다. 이번에도 유사한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며 "공매도 재개 전 시장이 선제적으로 하락한 만큼, 향후 실적 시즌을 기점으로 시장 방향성이 뚜렷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2025년 코스피 이익은 1분기가 저점일 것으로 보여, 실적이 양호한 업종 중심으로 시장 재편이 예상된다"며 조선, 반도체, 엔터테인먼트, 화학 업종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byh@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