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집 정보공유 플랫폼 ‘뽈레’
김류미·황대산 대표 인터뷰
리뷰 없는 ‘맛집’ 데이터 축적
“확장 때 글로벌 플랫폼과 제휴”
맛집 정보 공유 플랫폼 ‘뽈레’를 창업한 김류미(왼쪽)·황대산 공동대표 [뽈레 제공]
“광고 없는 진짜 맛집을 찾고 싶다.”
2017년 이 같은 고민을 공유한 김류미(41)·황대산(46) 공동대표는 지도 기반 맛집 정보 공유 플랫폼 ‘뽈레’를 창업했다.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진짜 맛집을 추천하는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언뜻 보기에 뽈레는 여타 서비스와 다르지 않다. 하지만 특이점이 분명하다. ‘랭킹’에 치중하지 않는다.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본인의 취향에 맞는 다른 이용자를 쉽게 연결해 주는 데 특화돼 있다. 최근 서울 강남구의 한 태국 음식점에서 헤럴드경제와 만난 두 대표는 음식이 나오는 동시에 휴대전화 카메라를 꺼내 들었다. 이들은 왜 사진을 찍냐는 질문에 “우리도 리뷰 데이터 축적에 기여해야 하니까요”라고 입을 모아 대답했다.
이들은 인터뷰 내내 신뢰도 높은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황 대표는 “순도 높은 리뷰 데이터 없이는 지속 가능성이 없다”고 단언했다. 리뷰를 소비하고 정보만 취하는 이용자가 아니라 리뷰를 쓰는 사람의 편의를 위주로 서비스를 꾸린 것도 이 때문이다.
김 대표는 “광고나 맛집 소개 콘텐츠에 혹해서 들어온 이용자는 결국 정보만 취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떠난다”며 “정보를 제공하는 이용자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구성해 데이터의 힘을 키울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수익 창출보다 기반 데이터를 쌓는 데 주력하다 보니, 운영이 위태로운 순간도 있었다. 하지만 올해에는 처음으로 ‘흑자’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관련업계에서는 내다보고 있다. 이미 사업으로 활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리뷰를 모았다는 확신도 두 대표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다.
김 대표는 “2~3년 전부터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제안이 들어왔고, 지난해 국내 1위 내비게이션 앱 T맵과 데이터 제휴를 맺었다”며 “올해는 글로벌 플랫폼사와 라이선스 제휴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4년 처음으로 공동 창업을 결심한 이들의 아이템은 맛집이 아닌 ‘책 추천 서비스’다. 편집자로 일한 김 대표의 이력을 반영한 사업이었다. 이용자가 책에 대한 감상을 남기면, 해당 데이터를 토대로 책을 추천하는 서비스였다.
하지만 간과한 것이 있다. 이용자는 밥을 먹는 만큼 책을 읽지 않았다. 황 대표는 “한 달에 한 권의 책을 읽는 것도 어려운 상황에, 리뷰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후 각종 서비스를 도전한 끝에 2018년 뽈레에 정착했다. 김 대표는 출판사에서 일한 전형적인 ‘문과’, 황 대표는 IT 개발에서 재미를 얻는 ‘이과’였다. 다른 성향의 두 사람이었지만, 뽈레의 성공 가능성을 확신하는 마음은 일치했다.
이 대표는 “7년 동안 사업을 이어가면서 막막한 순간들이 있었지만, 항상 ‘우리는 잘할 거야’라는 느낌으로 대화를 마쳤던 것 같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여러 어려움이 닥칠 때마다 같이 논의하면서 확신을 다져나갔다”고 했다.
앞으로는 아직 ‘뽈레’를 접하지 못한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를 강화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데이터를 쌓는 데도 힘을 기울이겠지만, 일반 이용자가 더 편리하게 좋은 정보를 취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우 기자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